대구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이하 대구안실련)이 5일 성명을 내고 지난달 17일 대구 북구 노곡동 일대에서 발생한 침수 피해에 대해 대구시에 공식 사과와 책임자 문책 등 후속조치를 촉구했다.대구안실련은 “이번 침수는 단순한 자연재해가 아닌, 총체적인 관리 부실에 의한 명백한 인재(人災)”라며 이같이 주장했다.성명에 따르면 대구시 조사단의 조사 결과, 침수의 직접적인 원인은 대구시가 관리하는 직관로 수문이 3%만 열린 상태로 장기간 방치돼 배수 기능이 사실상 작동하지 않았고, 제진기(부유물 제거 장치)가 막혀 펌프장 가동이 마비되면서 피해가 급속히 확산된 것으로 드러났다.여기에 더해 북구청이 관리하는 고지배수로 수문도 제대로 닫히지 않아 외부 유입수가 더해졌고, 펌프장 수문 및 게이트펌프 등 주요 배수 시설 다수가 고장난 상태였던 것으로 확인됐다. 대구안실련은 이를 두고 “관리 주체의 이원화와 사고 발생 시 무대응으로 일관한 행정이 피해를 키운 구조적 원인”이라고 지적했다.특히 2010년에도 동일 지역에서 유사한 침수 사고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약 100억 원을 투입해 설치한 고지배수터널이 이번 사고를 막지 못했다는 점에서 “행정의 반복된 실패”라고 비판했다.또 사고 발생 당시 지휘체계의 부재와 공직사회 기강 해이를 언급하며 “시장 공백 상황에서 위기관리 컨트롤타워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며 홍준표 전 대구시장의 정치적·행정적 책임도 언급했다.이에 대구안실련은 ▲대시민 공식 사과 및 재발 방지 약속 ▲시설 운영 부실에 대한 책임자 징계 및 문책 ▲피해 주민에 대한 보상 및 구상권 청구 ▲배수시설 운영·관리 체계의 일원화 ▲기후위기 대응형 방재 인프라 전면 재정비 등 5대 후속조치를 대구시에 요구했다.대구안실련은 “노곡동 침수는 특정 지역의 문제가 아니라, 대구 어디에서든 재현될 수 있는 구조적 위기”라며 “대구시는 시민의 생명을 무관심과 무책임 속에 방치하지 말고 지속 가능한 안전 시스템 구축에 즉각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