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가 대미 수출 철강 품목에 대한 고율 관세 유지로 위기감이 커지자 6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긴급 간담회를 열고, 지역 철강기업들과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이번 간담회는 지난달 31일 발표된 한미 관세협상 결과, 철강 품목에 대해 기존 50% 고율 관세가 유지된 데 따른 조치다. 수출 비중이 높은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세아제강 등 지역 기업들이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간담회에는 지역 철강기업 관계자들과 포항상공회의소, 포항철강관리공단 등 유관 기관이 참석했다. 기업들은 관세 부담 지속에 따른 수출가격 상승, 물류비용 증가, 글로벌 경쟁력 약화 등을 현실적인 애로사항으로 호소했다.특히 “국제 원자재 시세와 달리 수출 채산성이 악화되고 있으며, 수익성이 낮은 미국 시장을 포기해야 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의견도 나왔다.이에 포항시는 기업들의 의견을 수렴해, 중앙정부와의 공조 체계를 강화하고 관세 정책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특히 철강산업 지원특별법 제정, 기술 투자 세제 혜택, 수출 물류 지원 확대 등 제도적 뒷받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이강덕 포항시장은 “이번 사안은 포항만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 기간산업 전체의 위기”라며 “정부가 철강산업에 대한 체계적이고 실효성 있는 지원책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한편, 이번 한미 협상에서는 ▲자동차 부문 15% 상호 관세 도입, ▲3,500억 달러 규모 대미 투자펀드 조성, ▲1,0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에너지 구매 등 주요 합의가 이뤄졌으나, 철강 등 민감 품목은 고율 관세가 유지되며 산업계의 실망감도 적지 않은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