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가 EU 디지털 제품 여권(DPP) 제도 도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배터리 여권’ 플랫폼 구축 사업에 본격 착수한다. 이번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블록체인 공공분야 사업에 최종 선정되면서 국비 26억 원을 확보, 향후 이차전지 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에 기폭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포항시는 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추진하는 2025년 블록체인 공공분야 공모사업에 부산광역시와 공동으로 참여해 최종 선정됐다. 이에 따라 양 도시는 EU 제도와 호환 가능한 ‘한국형 배터리 여권 플랫폼’을 공동으로 개발하게 된다.‘디지털 제품 여권(DPP)’은 생산부터 유통, 사용, 폐기까지 제품의 전 생애주기 정보를 디지털로 관리·공유하는 제도로, EU는 2027년부터배터리 분야를 시작으로 전자제품, 섬유, 철강 등으로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이번 플랫폼 구축 사업을 통해 포항시는 전기차 배터리의 생산부터 폐기까지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수집된 데이터는 ▲주차·충전 서비스 ▲안전성 평가 ▲중고차 거래 및 정비 ▲배터리 재제조·재사용·재활용 등 실생활 및 산업 전반에 걸친 다양한 분야에서 실증에 활용될 예정이다.특히 이번 사업은 단순 시스템 구축을 넘어, 향후 국제 표준화와 글로벌 플랫폼 상호운용성 확보를 염두에 두고 설계된다.포항시는 이차전지 관련 핵심 국책사업을 지속적으로 유치하며 국내 최대의 배터리 산업 거점 도시로 성장해 왔다.▲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 ▲양극재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이차전지 기회발전특구 및 글로벌 혁신파크 등 다수의 국가사업을 성공적으로 확보했고, 총 14조 원 규모의 민간 투자 유치도 이끌어내며 인프라를 갖췄다.한편, 블록체인 특화 클러스터를 보유한 부산시와의 협업은 플랫폼 개발의 기술적 완성도와 글로벌 확장 가능성을 높이는 데 결정적인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이강덕 포항시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배터리 여권 국제 표준화에 선도적으로 대응하고, 전기차 배터리 통합관리체계 구축을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