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이앤씨가 공사현장에서 잇따른 인명사고로 창사 이래 최대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휴가 중인 이재명 대통령이 6일 포스코 이앤씨에 대해 건설면허 취소 또는 공공입찰 금지 방안을 검토하라는 지시에 포스코 이앤씨는 물론 건설업계는 초긴장 상태다. 건설업계는 안전 강화에는 이견이 없다고 입을 모으면서도 가뜩이나 건설경기 불황으로 기업들이 어려움이 이만저만이 아닌데 징벌 위주의 조치가 자칫 사업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어 우려하는 분위기다.    파문이 커지자 포스코 이앤씨는 인명사고에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한 정희민 사장 후임에 송치영 포스코 홀딩스부사장을 신임 사장에 내정했다. 포스코 이앤씨가 사고에 대한 책임을 통감하고 경영 책임자가 교체되는 발 빠른 사후 대책에도 정부는 연속적인 인명사고를 발생시킨 데 대해 무거운 처벌이 내려질 방침이다. 누구에게나 생명은 소중하다. 그런 만큼 산재로 소중한 목숨을 잃는 일을 막자는 대의와 대통령의 문제의식에 전 국민은 공감한다. 올해 포스코 이앤씨의 시공 현장에서만 4건의 사망사고가 발생했다.    네 번째 사망사고가 발생한 이튿날인 지난달 29일 국무회의에서 이 대통령은 “같은 방식으로 사망사고가 반복되는 건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이라고 질타했다.    이틀 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포스코 이앤씨 본사를 방문해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와중에 포스코 이앤씨가 지난 4일 시공을 맡은 고속도로 현장에서 근로자 1명이 감전으로 추정되는 사고를 당해 의식불명 상태에 빠지자 강경 대응이 나온 것이다. 정부는 대통령 지시에 따라 연속적인 인명사고를 발생시킨 포스코 이앤씨에 대해 매뉴얼 준수 여부를 철저히 확인하고, 예방 가능한 사고는 아니었는지 조사에 착수했다. 충분히 사고를 막을 수 있었음에도 소홀했다면 건설면허취소 내지 공공 입찰 금지 등 법률상 가능한 방안을 모두 찾아서 대통령에 보고키로 했다.    이 대통령의 강경책은 이러한 산업재해가 반복되지 않도록 징벌 배상제 가능한 조치로 전국 건설현장에서 산재가 발생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다. 지금까지 노동현장에서 발생하는 산재는 인적, 사회 구조적, 환경적 문제가 맞물려 발생한다. 사고 예방책은 경영자와 사업자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는 것 만이 능사가 아니다. 면허 취소는 본사 및 협력사 근로자의 생계 위협으로 경제 활동 위축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 글로벌 기업 포스코 이앤씨는 국내 굴지의 건설회사이다. 이번 사고가 마지막이여야 하는 이유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