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 응용생명과학부 이정구 교수팀이 보리 같은 풀을 겨울 논에 심었다가 수확 대신 갈아엎는 ‘녹비’ 농법이 벼 재배지 토양의 구조 개선과 유기탄소 저장 측면에서 월등한 효과를 보인다는 사실을 과학적으로 입증했다. 녹비란 겨울철 휴경기에 보리와 헤어리베치 같은 작물을 재배한 뒤 이를 수확하지 않고 그대로 갈아엎어 토양에 되돌려주는 친환경 농법이다. 기존 연구는 주로 밭이나 건조한 토양 환경에서 녹비의 효과를 다뤘고 벼 논처럼 물에 잠긴 환경에서는 토양 구조 변화와 탄소의 안정적 저장 효과를 정량적으로 검증한 사례는 드물었다. 이정구 교수팀은 2년간 벼 재배 논토양에서 녹비 작물을 재배·환원하고 토양의 물리·화학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 토양 입자가 뭉쳐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입단 안정성’이 기존 화학비료(NPK) 중심 농법 대비 약 22% 높은 것을 확인했다. 이 수치는 토양 구조가 더 단단하게 뭉치고 안정됐음을 의미한다.    또 땅속 유기탄소 중에서도 분해되기 어려운 ‘난분해성 탄소’와 토양 건강 지표로 불리는 ‘휴믹산’의 함량도 뚜렷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토양이 건강해지는 것을 넘어,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CO2)를 토양에 보다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특히 이번 연구는 벼농사처럼 물이 많은 논에서도 탄소중립 농법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논의 특성상 유기물 분해가 느리지만 녹비를 활용하면 탄소를 더 안정된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토양 분석 결과 녹비가 미세 입자 구조와 무기물 결합을 촉진해 탄소의 장기 저장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정구 교수는 “녹비는 단순한 유기비료 그 이상으로, 지속가능한 농업 실현과 동시에 탄소중립 시대를 이끌 핵심 기술이 될 수 있다. 이번 연구는 한국형 탄소중립 농업 모델 정립에도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환경·농업 분야 국제학술지 ‘토양 생물학 및 생화학’ 7월 호에 게재됐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