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이 무너지면 지역이 무너진다.” 이광재 전 국회사무총장의 말은 현재 지방의 위기를 정확히 짚는다. 학령인구 감소로 대학이 문을 닫고, 청년은 수도권으로 떠난다. 인구가 줄고, 일자리가 사라지며, 지역 경제는 쇠퇴한다. 이러한 악순환을 끊기 위한 해법 중 하나가 바로 AI 대학도시다.
 
AI 대학도시는 단순히 인공지능 관련 학과를 늘리는 것이 아니다. 대학이 지역 혁신의 두뇌가 되고, 도시 전체가 AI를 기반으로 움직이는 거대한 혁신 플랫폼이 되는 것이다. 해외의 보스턴, 실리콘밸리, 토론토처럼 대학·연구소·기업·지자체가 하나로 연결되어 AI 연구, 인재 양성, 창업, 산업 전환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모델이다.
 
전략 1: AI 기반 산업혁신 클러스터
AI는 산업 패러다임을 바꾸는 핵심 기술이다. 제조·의료·방산·물류·농업 등 전통 산업에 AI를 접목하면 생산성과 부가가치가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각 지역은 자신만의 주력 산업과 AI를 융합한 산업혁신 클러스터를 조성해야 한다.
 
대구는 의료·로봇·방산, 전북은 농생명, 전남은 해양·에너지, 부산은 물류·해양, 강원은 디지털헬스·관광, 제주는 청정에너지와 관광이 강점이다. 이 산업별 AI 클러스터를 전국적으로 네트워크화하면 ‘대한민국 AI 혁신지 belts’가 완성된다.
전략 2: 대학 개혁, 지방을 살리는 혁신의 엔진
성공적인 공간 혁명은 창의적인 인재에 의해 완성되며, 그 혁신의 엔진은 바로 ‘대학’이다. 그러나 학령인구 감소와 수도권 집중은 지방대학을 소멸 위기로 몰아넣고 있다. 이는 지역 소멸과 국가 불균형을 심화시키는 핵심 원인이다.
 
해법은 ‘선택과 집중’에 있다. 전국 13개 혁신도시와 인근 거점 대학을 연계하는 ‘혁신도시 2.0’은 지방에 세계적 수준의 혁신 클러스터를 만드는 기폭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주 혁신도시의 한국전력은 전남대·한전공대와 손잡아 에너지 신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원주 혁신도시의 건강보험공단은 연세대 미래캠퍼스와 협력해 AI 헬스케어 산업의 메카로 성장할 수 있다. 이는 스탠퍼드와 실리콘밸리의 성공 모델을 한국에 구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330여 개 대학을 특성에 맞게 과감히 재구조화해야 한다. 유형 1: 기업도시형 대학 – 캠퍼스 유휴 부지에 기업 연구소와 주거·편의시설을 유치해 대학 자체를 하나의 혁신 기지로 만든다. 유형 2: 산업지원형 대학 – 산업단지 인근 대학은 주력 산업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고 기업 R&D를 지원한다.유형 3: 은퇴자 도시형 대학 – 일부 한계 대학은 국가가 인수해 ‘액티브 시니어 도시’나 ‘예술인 마을’로 조성, 새로운 문화 중심지로 만든다.
 
전략 3: 국가 차원의 AI 대학도시 네트워크
AI 대학도시는 교육정책이자 산업정책이며, 동시에 인구·균형발전 전략이다. 정부는 ‘AI 대학도시 특별구역’을 지정하고, 규제 완화·재정 지원·데이터 개방을 제도화해야 한다. 지방자치단체는 산업단지, 도시재생, 교육 인프라를 AI와 결합해야 하며, 민간기업과 대학기술지주회사는 창업·투자 생태계를 주도해야 한다.
 
각 지역이 특화 산업에 AI를 융합한 대학도시 모델을 구현하면, 대한민국 전체가 AI 혁신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이는 수도권 과밀 해소, 지방대학 생존, 청년 일자리 창출, 국가 경쟁력 강화라는 네 마리 토끼를 잡는 전략이 된다.
지금이 바로, 대학이 도시를 살리고 도시가 국가를 살리는 ‘AI 대학도시 시대’를 열어야 할 때다. 미래는 준비하는 자의 몫이다. 머뭇거릴 시간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