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율 급락은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첫 번째가 협치를 외면한 오만이다. 그저께 리얼미터가 발표한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도는 7월 5주에 63.3%였던 지지율이 2주 만에 12.2%포인트나 하락한 51.1%로 나타났다. 이는 취임 후 최저치다. 대통령 지지율이 단기간에 이렇게 떨어진 건 국정 운영에 무엇이 문제인지 정부와 여당은 성찰의 시간이 필요하다. 가장 큰 요인으로 야당과 협치가 없는 데 있다. 공식 행사에서 만난 여야 대표가 악수 한번 없이 동상이몽이란 뉴스들로 도배를 한다.    과거 같으면 여당 대표와 야당 대표가 반갑게 손을 잡았지만 정청래 민주당 대표가 취임하면서 분위기 바뀌었다. 정 대표는 지난 2일 취임하자마자 국민의힘과의 관계에 대해 “여야 개념이 아니다. 먼저 사과와 반성 없이는 그들과 악수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했다. 지난 15일 광복절 경축식에 참석한 정 대표는 국민의힘 비대위원장 겸 원내대표인 송언석을 모른 척하더니 이튿날 김대중 전 대통령 추도식에서도 옆에 앉은 송 위원장과 악수는커녕 아는 체도 하지 않았다.    이를 목격한 국민은 나라 경제가 최악인 상황에서 여당은 야당을 파트너로 머리를 맞대 풀어야 할 과제가 많을 텐데 해도 너무하다는 반응이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런 식으로 여당 대표가 야당을 깔아뭉개는 게 대통령 지지율에 무슨 도움이 되겠나며 유권자인 국민이 가장 싫어하는 게 오만한 강자의 힘자랑이라고 입을 모았다. 권력은 한순간이다. 아무리 거대 여당이라도 대화와 타협으로 야당을 끌고 가야 한다. 의석이 많다고 입법 강행을 거듭하면 반드시 역풍을 맞게 돼 있다. 문재인 정권도 2020년 총선 압승을 바탕으로 21대 국회에서 폭주를 시작하면서 본격적 위기를 맞았다.    이 대통령의 지지층은 전통적 민주당 지지층과 윤석열 정권에 대한 반감 때문에 기호 1번을 찍은 중도층으로 구성돼 있다. 민주당이 통합의 정치를 하지 못하면 중도층은 언제라도 대통령 지지를 철회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지금 여론조사에서 그런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 거대 여당은 논란에 휩싸인 방송 2법, 노란봉투법, 상법 2차 개정안 법안들을 죄다 강행 처리할 예정이다. 소위 ‘검찰개혁법’ ‘언론개혁법’ 등도 추석에 통과시킨다고 한다.    법안 하나하나가 국정 시스템을 크게 뒤흔들어 놓는 내용으로 토론과 검증도 없이 군사 작전하듯 몰아붙인다면 반발심과 저항이 안 생길 수 없다. 낮은 지지율을 끌어올리려면 낮은 자세로 협치의 손길을 내밀어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