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의회 윤영애 의원(남구2)이 대구시가 공무원 및 공공기관 채용 시 거주지 제한 요건을 전면 폐지한 것과 관련해 “지역 청년들의 공직 진출 기회를 스스로 막는 정책”이라고 비판했다.윤 의원은 서면 시정질문을 통해 “타 시·도는 여전히 거주지 제한 제도를 유지하는데 대구시는 이를 폐지해 지역 청년 보호 장치를 없앴다”며 “공정채용을 표방하지만 실제로는 지역 청년에게 불리하게 작용하는 구조적 역차별”이라고 지적했다.윤 의원은 제도 폐지 이후 나타난 지역 외 합격자 증가와 낮은 정착률, 중도 이탈 문제를 짚었다. 그는 “청년 인구 유출은 계속되고 있으며, 외부 인재들조차 지역에 뿌리내리지 못한 채 떠나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며 “이 상태에서 제도를 유지하는 것은 정책 실패로 귀결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대구시 인구 순이동 통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대구 순유출 인구는 총 3244명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20대만 3390명이 빠져나가 전체 순유출 규모를 웃돌았다. 연령대 중 가장 큰 비중이다.윤 의원은 “공공부문 채용에서 지역 인재 보호 장치가 사라진 데다, 청년층 정주 여건 마련도 미흡해 청년 인구 유출이 가속화됐다”고 분석했다.그러면서 “공정채용이라는 명분 뒤에 지역 청년을 위한 실질적 장치가 사라졌다”며 “대구시는 현 제도를 전면 재검토하고 지역 청년 보호를 위한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