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하늘을 올려다보면 별자리는 질서정연하게 반짝이고 있다. 그러나 엄밀하게 말하면 별은 확장하는 우주 법칙에 의해 조금씩 밀려나고 있다. 하늘, 사람, 강물, 시간, 사랑도 완전한 정지는 없다. 모든 것은 흔들리며, 조금씩 기울다 결국 사라져 간다. 우리는 이 기울어지는 흔들림 앞에서 질문하게 된다. 사랑이란 무엇인가, 그리고 그 끝은 어디에서 오는가. 플라톤은 사랑을 단순한 감정이 아니라 진리로 향하는 사다리로 비유한다. 육체 사랑에서 출발해 영혼에 의한 사랑으로, 그리고 마침내 영원한 아름다움 자체에 이르는 길이라고 했다. 그것은 소멸하지도 않고 성장하지도 않으며 오직 자기 자신으로 존재한다.    우리가 경험하는 사랑은 그림자일 뿐이지만, 그 그림자가 없다면 우리는 영원한 빛을 상상할 수 없다. 지상에 뛰어내려 떨어지는 낙엽은 순간 덧없음을 말하지만 동시에 나무가 한때 푸르렀음을 증명한다. 사랑이 기울어도, 흔들림 속에서도, 우리는 영원한 아름다움을 어렴풋이 기억하고 있다. 하지만 사랑은 언제나 질서정연하게 시작되지 않는다. 그리스 신화에서 카오스는 만물이 생겨나기 이전 혼돈, 공허, 무한한 공간을 의미한다. 단순히 무질서한 상태가 아니라, 모든 것에 대한 근원이자 창조 잠재력을 지닌 근본적인 실체로 말해진다.    땅도 하늘도 별도 신도 존재하지 않던 무규정 틈, 깊은 심연. 바로 혼돈 속에서 대지가 태어나고 하늘이 세워지고, 마침내 사랑의 신 에로스가 등장했다. 사랑은 질서가 아니라 혼돈이라는 자궁에서 태어났던 것이다. 어느 날 예기치 않은 눈빛과 마주치는 순간, 일상 질서가 무너지고 우리는 새로운 혼돈 속으로 던져진다. 그러나 혼돈은 파멸이 아니다. 오히려 새로운 세계 기원이 된다. 강물이 휘몰아치는 소용돌이 속에서 새로운 길이 열리듯, 사랑은 혼돈 속에서 탄생한다.    플라톤 이데아는 영원한 질서를, 헤시오도스가 말한 카오스는 끝없는 무너짐을 가리킨다. 그러나 사랑이라는 경험 속에서 두 세계는 모순되지 않는다. 사랑은 이데아처럼 영원을 향해 뻗어가지만, 언제나 카오스처럼 불안정하게 시작된다. 질서와 혼돈, 영원과 순간은 사랑이라는 경험 속에서 동시에 살아 있다. 가을 강물은 이 두 얼굴을 보여준다. 언제나 같은 방향으로 흐르지만, 또 끊임없이 흔들리고 부서진다. 낙엽은 죽음을 상징하면서도 동시에 다음 계절 땅을 비옥하게 만든다. 별빛은 영원한 빛을 떠올리게 하지만 사실은 끊임없이 흔들리면서 우리에게 닿는다. 사랑도 그러하다. 끝내 흔들리고 무너져 내린다. 흔들림과 무너짐 속에서 우리는 영원을 향한 희망을 배운다. 아름다움에 대한 이데아라고 부를 수 있다. 이를 ‘카오스에서 태어난 에로스’라 할 것이다. 가을 낙엽처럼 사랑은 흘러내리지만, 그 흘러내림은 결코 공허한 종말이 아니다. 그것은 영원을 비추는 그림자이거나, 또 다른 시작을 예고하는 혼돈이다. 사랑이 끝난 뒤 남는 것은 종종 잘못 적힌 답안지 같은 기억이다. 그 기억은 쓸모없어 보이기도 하고, 낙엽처럼 바람에 흩날려 사라지기도 한다. 그러나 그 기억조차 영원으로 가는 그림자이며 우리를 이데아로 이끄는 단서일 수 있다. 동시에 그것은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을 품은 카오스일 수도 있다.    철학은 영원에 대한 질서를 가르쳐주고, 신화는 혼돈에서 새로운 생성을 일러준다. 사랑하며 살아낸 사람에게 남는 것은 한 장 낙엽, 흐르는 강물, 밤하늘 흔들리는 별빛이다. 가을 강가에서 필자는 흩어지는 별빛을 본다. 찬 바람 속에서 눈을 감으면 낙엽이 바람결에 스러지는 소리와 강물에 젖어 흘러내리는 소리가 겹쳐 들려온다. 그 순간 깨닫는 것은 사랑의 시작과 끝, 질서와 혼돈, 이데아와 카오스는 결코 서로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을.    오히려 사랑은 흔들림 속에서만 존재한다는 것을. 별빛은 흔들리지만 흔들림으로 우리를 사유하게 하고 시를 쓰게 하며, 언젠가 또 다른 사랑을 맞이할 수 있게 한다. 낙엽이 흩날려도 봄은 다시 오고, 강물은 흐르며, 별빛은 여전히 흔들린다. 그리고 필자는 그 흔들림 속에서 사랑이란 무엇이었는가를 다시 묻는다. 사랑은 영원한 별자리와 혼돈이라는 강물이 동시에 흐르는, 가장 인간적인 순간이었다고.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