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노동생산성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23위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2위로 높았다. 지식경제부와 한국생산성본부가 26일 OECD 발표 자료를 기초로 각국의 노동생산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2008년 우리나라의 취업자 1인당 노동생산성은 5만6374달러로 OECD 국가 중 23위였다. 이는 1위인 룩셈부르크(11만8466달러) 대비 47.5%, 미국 대비 58.4% 수준이며, 일본과 비교할 때 86.0% 수준이다. 산업별로는 제조업 취업자의 1인당 실질 노동생산성이 8만4864달러로 OECD 국가 중 5위로 상위권에 속했으나 서비스업은 3만4956달러로 18위로 하위권 이었다. 제조업은 미국 대비 82.6%, 일본의 111.0%로 높은 편이나 서비스업은 미국 대비 44.2%, 일본의 62.0%로 크게 낮은 수준이다. 이와 관련 지경부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서비스업 생산성은 제조업 대비 41.2% 수준으로 이러한 격차는 OECD 국가 중에서 가장 컸다"며 "제조업에 못 미치는 생산성 향상으로 매년 격차가 확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2000~2008년 평균 취업자 1인당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2.97%로 OECD 국가 중 5위로 매우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한편 OECD 발표자료를 기초로 2009년 기준 각국의 시간당 노동생산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시간당 노동생산성은 25.1달러로 OECD 국가중 28위였다. 이는 1위인 룩셈부르크(73.9달러) 대비 34.0%, 미국 대비 43.8%이며, 일본의 65.7% 수준으로, 1인당 노동생산성보다 격차가 컸다.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최장 연평균 노동시간으로 인해 시간당 노동생산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나타났다. 반면 2000~2008년 평균 시간당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4.41%로 OECD 국가(28개국) 중 슬로바키아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