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소니, 파나소닉, 샤프, 하이얼, 창홍 등 6개 TV 제조업체들이 셔터안경식 3D TV 확대에 협력키로 했다.
3D 안경을 끼고 봐야하는 안경식 3D TV를 구현하는 방식은 크게 셔터안경식(능동형)과 편광안경식(수동형)으로 나눌 수 있다. 현재 3D TV 시장에는 셔터안경식이 대세로 굳어져 있으나, 올해 LG가 다시 편광안경식을 내세우면서 반전을 꾀하는 형국이다.
30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들 6개 업체들은 지난 28일 중국 베이징에서 '3D TV 연맹'을 결성하고, 셔터안경식 풀HD 3D TV 시장 확대에 협력키로 했다.
시장조사기관 GFK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시장에서 이들 6개 업체들의 3D TV 시장점유율은 90%를 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이들 업체들은 셔터안경식 3D TV가 풀HD 해상도의 3D 화질을 보여 줄 수 있는 방식이라는데 뜻을 같이 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중국전자상회가 최근 진행한 소비자조사 결과 소비자들은 TV를 구매할 때 제일 중요한 요소로 화질을 꼽았다"고 말했다.
중국 전자기술표준화연구소는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셔터안경식과 편광안경식의 제품을 비교 평가하고, 셔터안경식 3D TV는 수평 해상도가 1080 라인으로 풀HD에 도달했지만 편광안경식 3D TV는 540 라인에 불과해 중국 풀HD 기준보다 낮았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어 소비자들은 TV 성능에 대해 해상도가 높고 색상이 선명해야 하는 등 전반적으로 화질에 대한 요구가 높으며, 이에 셔터안경식 3D TV가 적합하다고 연구소는 덧붙였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이번 협력으로 더욱 다양한 셔터안경식 3D TV가 출시될 것"이라며 "화질을 우선시하는 소비자들에게 더 많은 선택권을 제공하는 등 셔터안경식 제품이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