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은 '스마트 조명 시스템'을 각 사옥에 도입한 후 4개월 간 조명 전력 소모량이 월 평균 20% 감소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30일 밝혔다. 또 조명기구 교체주기가 길어져 유해 폐기물 발생량이 줄고 빌딩 온실가스도 저감되는 등 다양한 부대효과에 따른 절감 효과가 연간 1억70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스템은 건물 입구에서 체크되는 출입카드 정보를 바탕으로 직원이 빌딩에 들어오면 자리에 불이 켜지고, 나가면 자동으로 꺼져 부재 중인 공간의 조명에 에너지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는 시스템이다. 공조 시스템과도 연계돼 각 층별 근무 인원에 따라 냉난방 정도를 조절, 에너지 낭비도 막아준다. SK텔레콤은 지난해 9월 이 시스템을 서울 을지로 본사에 구축한 이후 남산, 경기 분당, 대전 등 지역 사옥으로 확대했다. 연내 부산, 광주 사옥 등에도 적용될 예정이다. 향후 솔루션 판매를 통해 SK텔레콤 사옥 뿐 아니라 국내는 물론 해외의 빌딩에서도 활용이 가능토록 할 계획이다. 외부 서비스 제공은 SK텔레콤의 통합 소프트웨어에 접속해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이다. 이를 위해 SK텔레콤은 지난해 7월 이 시스템에 대한 특허를 신청했다. 이 밖에 전국 사옥에 위치한 통신기계실 및 IDC(인터넷데이터센터)의 조명 에너지 낭비를 막기 위해 운영요원이 없는 경우 자동으로 소등되도록 하는 시스템도 구축, 성수 사옥에서 시험 운영 중이다. 향후 이 시스템도 전국으로 확대 적용된다. 김현구 SK텔레콤 HR실장은 "사무실 전체 조명으로 인한 에너지 낭비를 막고 실시간 근무인원 파악을 통한 효율적인 빌딩관리를 위해 이 시스템을 개발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에너지 절약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개발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