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규장각 도서 297권이 145년 만에 프랑스로부터 반환된다. 이런 가운데 대여 방식을 두고 잡음이 일고 있다. 5월31일까지 반환되는 외규장각 도서는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이 2개월간 강화도 강화읍성에 주둔하면서 약탈해간 문화재 중 일부다. 박흥신 주프랑스대사와 폴 장 오르티즈 프랑스 외교부 아태국장은 한국시각으로 8일 자정 프랑스 국립도서관(BNF) 소장 외규장각 도서의 한국 이관 합의문에 서명했다. 그러나 문화연대는 문화재 환수가 아닌 계약 기간 연장이라며 5년마다 갱신이 이뤄지는 대여 방식에 불만을 드러냈다. 프랑스 정부를 상대로 끝까지 반환 소송을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외교통상부 서유럽과 관계자는 "양국은 5년이 되면 외교서한을 통해 연장한다는 내용을 서면으로 교환하게 된다"며 "프랑스 문화재법상 영구 반환이 불가능하다. 국외 반출시 특정 시각과 목적을 명시해야 한다. 보통 6개월 이상 넘어가는 경우가 없어 이번 사례는 유일무이하다. 프랑스법 테두리 안에서 나름 최대한 확대, 장기간(5년)설정한 것"이라고 일축했다. "해외에 흩어져 있는 우리나라 문화재 중 프랑스에 있는 것은 미국, 일본, 중국에 있는 그것의 10분의 1에 불과하다"면서 "장기 대여 선례를 만드느라 20년간 끌어왔다. 총체적 문제로 봐야 한다. 왜 다른 우방에서는 (약탈 문화재가)돌어오지 않고 있는지 생각해야 한다. 그게 현실"이라고 덧붙였다. 1992년 정부는 프랑스에 도서 반환을 정식 요청했다. 미테랑 대통령은 한국에 고속철 떼제베 도입을 앞둔 시점에서 반환을 약속했다. 그 결과 1993년 '휘경원원소도감의궤' 단 1권이 돌아왔다. 이 경우에도 프랑스 내부적으로 대여 기간을 3년 마다 연장하는 것으로 결정됐다. 이번에도 비슷한 케이스라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국립중앙박물관 직원들로 이뤄진 실무협상단은 이달 중 프랑스로 가 구체적인 이관 절차를 논의하게 된다. 국립중앙박물관 오영찬 학예연구관은 "프랑스 국립도서관과 외규장각 도서의 반환 일정이나 운송 방식, 포장 등 세부적, 기술적인 사안에 대한 공식 교섭이 시작될 예정"이라면서 "실무 협상이 마무리되면 국내에 운송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현재 프랑스국립도서관에서는 외규장각도서 디지털화 작업을 추진 중이다. 디지털화 작업은 3월 말까지 마무리될 예정이다. 외규장각 도서는 작업이 마쳐지는대로 5월말까지 소실 위험성 등을 고려해 2~3차례 나뉘어 한국으로 돌아온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