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은 23일 자동차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는 7가지 방법을 소개했다. 최근 생필품 물가 상승 등으로 주머니 사정이 얇아진 서민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자는 취지다. 우선 무사고 운전이 보험료 절약의 지름길이다. 사고 발생시 보험료는 할증되는 반면 무사고 경력을 18년간 유지하면 보험료가 70%까지 할인되기 때문이다. 할인할증률이 유리한 보험사를 선택하는 꼼꼼함도 필요하다. 현재 보험사는 사고 발생여부에 따라 갱신시 보험료를 할인 또는 할증하고 있다. 보험사의 등급별 할인할증률은 손보협회 홈페이지(www.knia.or.kr)에 공시돼 있으므로 편리하게 비교할 수 있다. 특히 할인할증률이 유리한 회사를 복수로 선택한 뒤 해당 보험사를 통해 실제 견적을 받아본 후 최종 결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다양한 할인 특약도 꼼꼼하게 살펴야 한다. 예컨대 요일제 자동차 특약에 가입하면 만기시 보험료를 8.7% 환급받거나 보험 가입 시에 8.3%를 할인받을 수 있다. 블랙박스가 장착된 차량의 경우 3% 할인 혜택이 주어진다 군대를 포함한 관공서나 법인 등에서 운전직으로 근무한 기간이나 외국에서 보험가입기간은 운전경력으로 인정돼 28%까지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아울러 운전자 범위 및 연령을 축소할수록 보험료 할인혜택이 증가한다. 최근에는 수리 시 중고부품을 사용할 경우 신품과 중고부품의 차액을 돌려주는 특약 판매가 예정돼 있는 만큼 수리시 중고부품 사용을 고려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운전자는 할인할증등급 관리에도 만전을 기해야 한다. 사고내용에 비례해 등급이 할증되기 때문에 사망사고 등 중상해 대인사고를 유발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개인적 사정 등으로 계약 만기일로부터 1개월을 초과해 갱신하면 전 계약기간 동안 사고가 없더라도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없다는 점도 유념해야 한다. 또 3년을 초과한 경우에는 신규 가입등급인 기본등급(11등급)으로 복귀되므로 가능한 3년 이내에 갱신해야 한다. 그밖에 차량을 2대 이상 보유한 경우 개별 계약을 하나의 증권으로 가입하면 사고 발생 시 사고차량만 할증되므로 보험료 할증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 자차보험료는 전체 보험료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본인 차량에 대한 보상인 만큼 차량가액과 운전습관 등을 고려해 알뜰하게 설계해야 한다. 최근에는 대부분의 손보사들이 제휴카드로 결제할 경우 보험료를 할인하거나 적립 포인트, 선지급 포인트로 결제를 지원하는 혜택을 부여하므로 카드 혜택도 꼼꼼하게 살펴야 한다. 한편 교통법규 준수가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라는 점도 명심해야 한다. 2월부터는 속도와 신호위반, 중앙선 침범 운전자에 대한 보험료 할증 평가기간이 1년에서 2년으로 연장되고, 범칙금 미납으로 과태료로 전환된 건도 할증대상에 포함하는 방안이 추진 중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