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중흥을 위한 대토론회가 대한불교 조계종 승가교육진흥위원회(위원장 자승 총무원장) 주최로 23일 오후 서울 견지동 조계사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국제회의장에서 열렸다.
조계종 화쟁위원회 원택 부위원장이 제시한 '한국불교 교단과 국가'를 주제로 조계종 민족문화수호위원회 영담 공동위원장, 동국대 보광 교수, 박세일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 김병준 국민대 교수 등이 최재천 변호사(법무법인 한강 대표변호사)의 사회로 토론했다.
원택 스님은 먼저 한국과 중국의 불교와 양국 역대 왕조간 관계를 돌아봤다. 이어 1950년대 한국 불교의 판도를 뒤바꾼 정화운동, 1980년 전두환 군부의 10·27 법난, 1986년 5공정권을 겨냥한 9·7 해인사 승려대회, 1994년 종단 개혁, 2008년 범불교대회, 그리고 이명박 정부와 대립각을 세우며 시작된 현 민족문화수호운동 등 현대 불교사에서 분수령이 된 사건들을 조명했다.
특히 '정부의 불교 차별'이라는 장에서는 불교 관계 악법, 정부의 종교 편향 등을 사례를 들어가며 비난했다. 원택 스님은 불교와 국가의 관계를 풀어나갈 해법으로 불교 내부의 역량 강화, 종단 차원의 NGO 활동 활성화, 범불교적인 전통 민족문화 선양 등을 제안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승려, 불교신자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청중도 토론에 참여해 불교중흥에 관한 자신의 의견과 소신을 피력했다.
한편 박세일 교수는 "인류사로 볼 때 엄격한 정교 분리가 필요하지만 인간의 기본적 인권이나 국가공동체 자체의 생존이 위협 받을 때는 종교가 입장을 표명하고 행동해야 한다"고 전제했다. 하지만 "경제정책 등 그 외의 개별 정책 부분에 대해서는 판단이 잘못될 수도 있고, 정치적으로 이용될 수도 있으므로 종교는 침묵하는 것이 옳다"고 지적했다.
박 교수는 1986년 승려대회에서 나온 '민족경제를 침탈하는 수입 개방을 즉각 중지하라'는 주장, 지난해 불교교단의 국가정책 관련 주장을 정부가 제대로 수용하지 않는다고 '소통과 대화의 상대로 삼지 않겠다', '사찰 출입을 막겠다'고 나선 것도 짚었다.
"바람직한 불교의 발상이나 태도인가, 부처님이 계셨으면 과연 그렇게 했을까하는 생각을 해본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