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연구역이 늘고 담배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크게 변화하면서 흡연을 대체하는 물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다. 대표 주자는 전자담배다. 2003년 중국에서 개발된 전자담배는 2010년 8월 기준 수입금액 규모만 195만 달러(22억원 정도)로 추산된다. 그러나 전자담배 안전성 여부는 여전히 논란거리다. 니코틴 함량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없어 같은 레벨 제품 간에도 니코틴 함량이 200배 이상 차이나기도 한다. 이에 21일 국립중앙의료원은 '전자담배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그 효과와 안전성을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연자로 참석한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가정의학과 금연클리닉 이철민 교수는 "전자담배가 신속하게 확산된 이유는 마케팅의 힘"이라며 "식약청은 전자담배가 금연 성공률을 높인다고 인정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그는 "니코틴 함유 여부에 따라 (전자담배를)관리하는 현 체계가 흡연자 혼란을 부추기고 관리효율을 떨어뜨리고 있다"며 "사용실태, 안전성에 대한 면밀하고 지속적인 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금연운동협의회 김은지 사무총장은 "현재 시판되는 전자담배는 니코틴 함유량 기준이 정해져 있지 않아 동일 레벨이라도 니코틴 함유량이 200배 이상 차이나는 등 기준이 명확치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 때문에 니코틴 흡입량을 가늠할 수 없어 니코틴 중독이 더 심해질 수 있다"며 "140여종에 달하는 전자담배 액상(증기포함)에 대한 유해성분 조사가 진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양여대 보건행정과 조준호 교수에 따르면 세계보건기구(WHO) 역시 전자담배의 전자니코틴 공급장치가 적법한 금연장치로 인식되기엔 과학적 근거가 충분치 않고 안전성과 유효성을 위해 규제 기준을 충족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한 바 있다. 조 교수는 '인체 무해', '건강', '간접흡연 피해가 없다' 등의 광고문구를 언급하며 "소비자 현혹 광고에 대한 객관적 사실 판단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국립암센터 암역학연구과 명승권 박사는 "전자담배에 대한 연구논문 16건 대부분은 '전자담배가 니코틴 갈망을 줄이지 못하며 잠재적으로 독성이 있다'는 결론이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일부 연구자들이 전자담배가 연초담배에 비해 해가 적다고 평가하고 있으나, 흡연자의 흡연가능성, 청소년 흡연시작 관문 가능성, 집단적 질병위험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라고 덧붙였다. 이어 박재갑 원장은 "전자담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근거 아래 효능을 검증해야 한다"며 "이를 근거로 법적 규제 체계도 확립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