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제부가 융합신제품에 대해 최대 6개월 범위내 적합성 인증을 수행하는 적합성인증 세부 운영절차를 마련하는 등 융합신제품 시장 출시 지원에 본격 나선다. 지경부는 25일 조선호텔에서 산업융합 민관합동위원회를 개최, 이같은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하는 산업융합촉진전략을 발표했다. 산업융합촉진전략을 살펴보면, 우선 융합신제품의 신속한 시장출시를 지원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지경부는 융합신제품에 대해 최대 6개월 범위내 적합성 인증을 수행하는 적합성인증 세부 운영절차를 마련하기로 했다. 이미 지경부는 현재까지 총 62건의 시장출시 애로사례를 발굴하고, 이 중 대표적인 사례 4건에 대해 관련 인증기관을 중심으로 적합성 모의인증을 수행해왔다. 아울러 인증·시험기관, 출연연 등 전문가로 구성된 '융합사업화지원반'을 다음달부터 운영하기로 하고, '산업융합촉진 옴부즈만'을 오는 10월부터 지정하기로 했다. 융합촉진 지원시스템도 마련하기로 했다. 우선 인력양성을 위해 내년부터 산업융합특성화대학원 3곳을 지정해 운영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 이날 회의에 참석한 윤영선 숭실대 교수는 "현행 대학교육은 학과별, 전공 중심의 폐쇄적인 교과과정 등으로 산업계가 요구하는 융합형 인재 양성에 한계가 있다"며 "융합형 인재수요와 대학의 교육시스템을 조화시키는 새로운 융합교육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각종 산업융합시책을 전담 시행하는 '산업융합지원센터'를 지정해 정책개발과 기업지원 등 산업융합촉진의 구심체로 활용할 계획이다. 아울러 융합에 대한 객관적인 측정기준으로서 '산업융합지수'를 연내 개발해 향후 융합신제품의 적합성인증 대상 여부 판단이나 융합형 R&D과제 등의 선정시 융합성을 평가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이밖에 융합포럼 등을 통해 이종산업간 활발한 소통의 장을 마련하고 산업융합주간행사를 개최해 융합의 융합 제품의 저변을 확대하기로 했다. 최중경 지경부 장관은 "산업융합은 글로벌 제조업의 중흥시대를 맞아 우리나라 산업을 새로운 부흥기로 꽃 피울 수 있는 핵심수단이다"며 "이번에 발표한 정책과제들을 중점 추진해 산업 전반에 융합이 확산되고 가시적인 성과로 이어지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