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제 여건이 좋지 않다고 생각하는 기업들이 10곳 중 8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자재가 상승으로 인한 채산성 악화 때문이란 분석이다.
31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전국 506개 기업을 대상으로 '최근 경제 동향과 하반기 경기 전망'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82.2%가 '국내 경제 여건이 좋지 않다'고 답했다.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좋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이 85.6%에 달했다. 이는 대기업(75.3%)의 경우보다 크게 높은 수치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최근의 경제지표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의 체감경기가 좋지 않은 것은 유가·원자재가 상승과 환율 하락 등에 따른 비용 증가로 채산성이 악화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체감경기가 좋지 않은 이유로 기업들은 '수익성 악화'(50.5%)를 가장 많이 꼽았다. '수출·내수 등 판매 부진'(31.0%)과 '자금사정 악화'(26.7%) 등도 거론했다.
또 최근의 경영 애로로 '유가·원자재가 상승'(59.1%), '원·달러 환율 하락'(8.5%) 등을 많이 꼽았다.
올해 하반기에 대한 전망도 그리 밝지는 않았다. 응답기업의 55.3%는 '좋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매우 좋지 않을 것'이라는 응답도 4.6%를 차지했다. 하반기 경제 대외 불안요소로는 '유가·원자재가의 상승'(63.0%), '중동 정세 불안'(22.1%) 등을 많이 꼽았다.
이동근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유가·원자재가 상승, 미국 양적완화 종료, 남유럽 재정위기 재발 가능성 등 대내외 경제 불안요소들로 하반기 기업경영 여건이 쉽지 않아 보인다"며 "기업 애로 해소를 위해 정책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