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오 특임장관은 1일 "부산저축은행 사태는 '한국적 권력형 부패의 표본'"이라며 엄중한 처벌을 강조했다.
4·27 재보선 참패 이후 공식활동을 자제해왔던 이 장관은 이날 오후 전남 장성군 초청 '제709회 21세기 장성아카데미'의 강사로 나서 "권력과 힘깨나 쓰는 사람들이 없는 사람들의 쌈짓돈을 이용해 자신들의 배를 불리는 이런 상황이 우리나라 권력형 부패의 현주소"라고 지적했다.
그는 "(저축은행 사태를 유발한)이들은 서민들이 저축한 돈을 대출해서 펑펑쓰고, 이때문에 어려워진 은행이 문을 닫는다고 하니까 먼저 가서 자기 돈을 빼갔다"며 "양심적으로 꼬박꼬박 돈을 저축한 서민 4만명, 가족까지 포함하면 16만명이 피해를 당한 희대의 부패사건이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은 어느 쪽에 더 책임이 있는지 공방을 벌일 때가 아니라 관련자 모두에게 엄중한 책임을 물어야 할 때이다"고 덧붙였다.
이 장관은 "초고령사회로 접어들고 있는 우리나라의 현실을 감안할 때 지금의 경제적 수준을 미래세대들에게 그대로 물려줄 수 있을까 걱정이 많다"며 "나 뿐만이 아니라 우리가, 장성만이 아니라 우리나라 전체가 잘살기 위해서는 공정사회 건설이 필수적이다"고 견해를 밝혔다.
또 "갈등과 분열을 어우르는 것이 민주화의 목표지만 우리는 겉으로만 민주화를 이뤘을 뿐 선거 때마다 갈등과 분열을 반복하고 있다"며 "우리나라 1년 예산과 맞먹는 300조 가량이 부패와 갈등비용으로 들어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자치단체를 위해 일하는 기초·광역의원들이 당하고 무슨 상관이며 왜 공천을 줘서 갈등과 분열을 유발시키는지 모르겠다"며 "정치권도 갈등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기초·광역의원들의 공천제도를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장관은 "부패가 없는 세상을 만드는 것이 우리의 미래세대에게 좋은 나라를 물려주는 길이다"며 "국민 모두가 문화적으로 부패가 없는 환경을 만들어가는 길에 장성군이 가장 모범적으로 나섰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서울에서 열린 한 특강에서 '전당대회 불출마'를 선언한 이 장관은 오는 11일 지지자 3000여명과 함께 충남 천안 흑성산을 오르는 단합대회를 갖고 조직 정비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