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년동월대비 4.7%를 기록하면서 정부가 잡은 '연 4%' 목표치 달성이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통계청은 1일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전월대비 0.7%, 전년동월대비 4.7% 올랐다고 밝혔다. 지난 1월 4.1% 상승 이후 7개월 연속 4%대의 상승세를 기록한 것이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채소류로, 신선채소는 장마기간 중 폭우 등의 영향으로 전월대비 무려 21.5% 상승했다.
특히 강수량에 많은 영향을 받는 상추(94.4%), 시금치(71.8%) 등이 크게 올랐다. 열무와 배추도 각각 95.1%, 63.9% 상승했다.
채소류의 전체 소비자물가 기여도는 0.28%포인트로 전월비 상승의 42.4%를 차지한다. 이는 1985년 채소류 통계를 작성한 이래 최고치다.
기상악화의 영향은 8월에도 계속될 전망이다. 기획재정부는 "농산물은 최근 중부지방 집중호우 및 이른 추석의 영향으로 채소·과실류 가격 강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8월 소비자물가 역시 4%대가 지속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9월 이후로는 전년도 높은 물가상승에 따른 기저효과로 소비자물가가 다소 낮아질 것으로 보이지만, 기상여건 등 불확실성이 남아 있는 상황이다.
하반기 공공요금 인상도 물가 상승의 복병이다. 정부는 8월부터 전기요금을 평균 4.9% 올릴 계획이며, 산업용을 제외한 가정용 전기요금은 2% 인상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정부가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서 내세운 연 4% 물가상승률 목표도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지난 1월부터 7월까지 평균 소비자물가는 4.4%로, 향후 5개월 동안 평균 3.44% 올라야 연 4%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밝혔다.
임희정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농산물을 제외하더라도 원유가격 상승, 공공요금 인상 등의 변수가 남아 있어, 연 4% 목표 달성은 어려울 것"이라면서 "향후 물가 상황이 더 불안해지면 정부가 하반기 공공요금 인상을 내년 이후로 미룰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