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이하 금융노조)의 신입행원 초임 정상화 요구 움직임이 대(對)정부 투쟁으로 번지고 있다. 금융노조는 6일 오후 2시 KBS 88체육관에서 '임금투쟁 승리를 위한 전국 분회장·대의원 회의 및 신입직원 결의대회'를 열고 정부의 공공기관 신입직원 초임 단계적 인상안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 이 날 집회에는 1000여명의 분회장 및 대의원과 지난 2009년 정부의 일자리 나누기 정책으로 초임이 20% 삭감된 2500여명의 신입행원이 참석했다. 금융노조에 소속된 시중은행 및 금융공기업에 2009년부터 입사해 현재까지 초임이 깎인 신입행원 수는 6300여명에 이른다. 이들은 2008년 입사자에 비해 1000만원 안팎의 연봉 격차가 난다. 초임 삭감 대상이 가장 많은 곳은 신한은행으로, 올해 입사자인 238명을 포함하면 950여명에 달한다. 국민은행은 올해 입사한 108명을 합해 총 720명이다. 김문호 노조위원장은 "정부가 1일 발표한 공공기관 초임 원상회복안은 '초임 영구삭감'을 노린 것"이라며 이번 방안을 주도한 이재필 고용노동부 장관과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의 사퇴를 촉구했다. 앞서 이채필 노동부 장관은 공공기관 임금체계의 공정성 제고를 위해 2009년 이후 입사한 직원들의 임금체계를 적용해 7월분부터 소급 적용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 같은 정부의 계획은 신입행원의 초임은 삭감된 채로 유지하면서 향후 3~5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기존 노동자와의 임금 격차를 줄여나가려는 조치로, 정부와 사측의 인건비 추가 지출이 전혀없는 생색내기라는 게 금융노조 측의 주장이다. 금융노조는 이 날 집회를 시작으로 8일부터 청와대와 국회 앞에서 릴레이 1인 시위를 벌일 예정이다. 10일에는 정부 과천청사 앞에서 신입행원 초임 정상화 촉구 기자회견을 연다. 유택윤 기업은행지부 위원장은 "대기업에 대한 혜택을 아끼지 않으면서 신입직원을 비롯한 금융노동자의 임금을 삭감해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것은 친기업·반노동 정책의 전형"이라고 비난했다. 금융노조는 이달 중 신입행원 초임 정상화가 이행되지 않으면 9월부터 총파업에 나설 계획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