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이르면 올해 말 돼지수급 예보제를 도입한다. 돼지고기 수요나 가격전망 등을 예측한 자료를 제공해 농가가 자율적인 수급 조절책을 마련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 필요에 따라 농가별 사육규모 상한선을 마련하는 등 강력한 조치 도입도 검토 중이다. 농림수산식품부는 6일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돼지고기 수급동향 및 가격안정 방안' 브리핑을 통해 이 같이 밝혔다. 돼지 사육규모는 지난해 말 발병한 구제역으로 인해 전국의 돼지 332만 마리가 매몰됐지만 올해 돼지고기가 '금값'으로 치솟자 꾸준한 증가 추세다. 지난 3월 돼지 전체 사육규모는 703만였지만 3개월만인 지난 6월에는 733만 마리로 4.2% 늘었고, 어미돼지도 같은 기간 3.8%나 증가했다. 농식품부는 그동안 돼지고기 가격안정화를 위해 할당관세 등을 통해 돼지고기는 물론 후보 어미돼지 수입 등 공급 확대책을 써왔다. 그 결과 돼지고기값은 추석을 앞두고 있지만 비싼 가격으로 수요가 준 데다,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닭고기, 오리고기 등 대체 소비가 늘면서 약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천일 축산정책과장은 "하반기 돼지 사육규모는 전년 같은 기간의 70~80% 정도 수준을 회복할 것"이라며 "추석 이후에는 하락세가 지속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에 농식품부는 중장기 대응책으로 맞춤형 수급체계와 생산-유통-소비 등 단계별 대응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돼지수급 예보제 도입을 통해 수요와 가격전망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면서 농가가 새끼 돼지를 탄력적으로 생산하도록 하겠다는 계획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농가별 사육규모를 제한하고 새끼 돼지 번식을 막는 등 강력한 사육규모 조정 장치도 마련할 계획이다. 대형 축산물 가공·유통 전문업체(팩커)를 육성하거나 돈육 선물거래 제도를 활성화하는 등 유통구조 개선을 통한 가격 안정을 시도하기로 했다. 또 삼겹살 선호가 높은 한국 식문화를 개선하기 위해 비선호 부위를 활용한 불고기, 바비큐, 등갈비, 떡갈비 등 요리와 술안주 등을 개발해 삼겹살 수요를 대체할 수 있는 메뉴 개발에서 나설 예정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