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금융지주가 7일 처음으로 신설된 그룹경영회의에서 '따뜻한 금융'을 선언하고 유동성 위기에 처한 중소기업에 상환유예와 금리우대, 경영컨설팅 지원에 나섰다.
그룹경영회의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신한은행 본점에서 열려 그룹사별 33개 사업과제를 선정해 발표하고 실행해나가기로 했다.
신한지주측은 수익의 일부를 사회에 환원해왔던 기존의 사회공헌 활동에서 한 발 더 나아가 '금융을 통해 세상을 이롭게 한다'는 그룹의 기업이념을 구체화한 것이라 설명했다.
신한은행은 기업성공프로그램(CSF)을 통해 일시적으로 유동성에 문제가 있으나 경쟁력이 있는 중소기업에 대해 상환유예, 금리우대, 신규지원, 경영컨설팅, 출자전환 등 맞춤형 지원을 실시하기로 했다.
지방개인사업자에게는 은행이 특별출연한 기금을 통해 보증기관과 협의해 보증한도를 정하고 신규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또 신한과 일정기간 이상 거래를 한 고객을 대상으로 일시적으로 신용이 나빠진 고객은 서울보증보험증권을 담보로 여신지원을 할 계획이다.
신한카드는 태풍, 홍수 등 자연재해를 입은 고객에게 결제금액 상환을 최장 3개월 유예하고 최장 6개월 동안 분할상환하도록 해 줄 방침이다.
신한생명은 보험 가입자가 사망했을 경우 보험 가입여부를 알지 못한 상속자들에게 보험금을 수령할 수 있도록 적극 알릴 계획이다.
신한 BNP 파리바 자산운용은 기존 봉쥬르 차이나와 브릭스 펀드 가입자 중 손실을 입은 고객이 엄브렐러펀드로 펀드로 전환하는 경우 선취수수료를 면제해 주기로 했다.
신한캐피탈은 전세자금대출 만기를 연장할 때 수수료 1%를 면제하기로 했으며 올해 말 출연 예정이었던 신한미소금융재단 출연금 200억원도 앞당겨 출연하기로 했다.
한편 그룹경영회의는 한동우 회장 취임 후 도입한 회의체로 그룹의 주요 현안에 대해 논의하고 최고경영자(CEO)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