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이 18일 사상 초유의 정전사태 직전 한국전력거래소에서 허위보고가 있었다고 밝혔다. 또 이번 사태와 관련, 자리에 연연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최중경 장관은 이날 오후 정부과천청사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정전사태 원인을 자체 조사한 결과 이상기온에 따른 단기간 전력수요 급증, 예비전력율 관리 미흡 등이 있었다"고 말했다. 최 장관은 "한국전력거래소 측의 전력공급 능력에 대한 허수계산이 있었다. 허위보고라고도 할 수 있다"며 "전기가 처음 예열상태를 거쳐 발전 상태로 들어가려면 약 5시간동안 예열을 해야 한다. 그런 전력거래소에서 예열조치 지시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그것을 공급능력에 포함시켰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그렇게 되면서 실제로 필요한 상태에는 예열이 없어서 발전기가 가동이 안된 그런 상황이었다"고 덧붙였다. 정전사태가 발생한 15일 오후 2시 반까지만 해도 지경부에 보고된 예비전력은 350만kW였는데 그 중 이런 허수가 있어서 147만kw로 내려왔고, 그런 상황은 오후 3시가 다 돼서야 통보됐다는 것이다. 특히 이 중에서도 사용이 곤란한 용량 포함됐고 실제 정전사고 당시 예비전력은 24만kW에 불과했다는 주장이다. 최 장관은 이와 관련 "관련 책임자들에게 엄정한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 장관은 그러면서 "지경부 장관으로서 시간적으로 전혀 대응할 수 없었다. 만약 당일 오전 10시, 즉 양수발전기가 가동된 시점 또는 자율절전 12시경에만 통보됐더라도 관계기관에 협조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아쉬워했다. 그는 아울러 "이번 정전 사태 피해와 관련해선 전국 189개 한전 지점 등을 통해 20일 오전 9시부터 보상 접수를 받을 것"이라며 "정전으로 인해 직접 피해를 입은 제조업체와 상가, 일반 소비자 등에 대해 개별 피해사실을 조사 후 모두 보상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최 장관은 브리핑 말리에 "자리에 연연하지 않겠다"고 말해 사실상 사퇴의사를 표명한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다. 지경부 고위관계자는 이와 관련해서 "아직 직접 사퇴를 표명한 건 아닌 것 같다"면서도 "우선 이번 사태를 조기에 수습하겠다는 의미일 것"이라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