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10월 1일 플랫폼 사업을 전담할 SK플래닛 출범에 맞춰 기존 CIC(Company In Company) 조직을 폐지했다. 대신 통신사업에 대한 운영을 책임지는 '사업총괄'과 전사 최적화를 지원하는 '코퍼레이트 센터(Corporate Center) 체제로 전환한다. SK텔레콤은 플랫폼 사업부문 분사 이후 기존 이동통신 사업을 빠르게 재정비해 경쟁이 심화되는 통신시장에 효과적으로 대응한다는 취지로 이같은 내용의 조직개편을 시행한다고 21일 밝혔다. 먼저 플랫폼 사업부문 분사를 계기로 기존 CIC(Company In Company) 조직체계를 폐지하고 통신사업(Network Operator)에 대한 운영을 책임지는 '사업총괄'과 전사 최적화 및 효율화를 지원하는 '코퍼레이션(Corporate Center) 체계로 전환, 운영효율 극대화는 물론 조직 관리 및 책임을 강화하도록 했다. 사업총괄에는 배준동 전 네트워크 CIC 사장이, 코퍼레이트 센터장은 전 GMS CIC 사장이 각각 맡게된다. 통신사업 운영을 책임지는 '사업총괄'에는 B2C, B2B, 네트워크(Network) 역량을 결집해 마케팅, 기업사업, 네트워크 및 유무선 조직간 시너지를 제고하고 경쟁우위 유지의 기반을 더욱 공고히 할 계획이다. 또한 중장기 성장 전략 다변화를 위해 '헬쓰케어(Healthcare) 사업본부'를 신설해 헬쓰케어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키로 했다. 아울러 IPE사업본부와 헬쓰케어 사업본부는 사업총괄 직속으로 둬 사업추진 실행력을 높이도록 했다. 기존 기술부문은 '종합기술원'으로 기능을 통합 강화하고 CEO 직속으로 둬 연구개발(R&D) 분야의 중장기 및 사업지원 과제 간의 균형을 제고하고 중장기적 관점에서 기술역량을 높여 기술 리더십을 강화할 계획이다. 사업총괄 직속의 사업지원(Staff) 조직은 슬림화 하고 중장기·전사 전략은 전사로 통합해 일관된 전사 전략의 수립·실행을 담당할 예정이다. SK텔레콤은 조직개편과 아울러 시행하는 임원인사에 ‘변화’를 통한 조직 활성화와 안정적 사업 추진을 위한 일관성과 지속성을 동시에 고려했다고 밝혔다. 한편, SK텔레콤은 이번 조직 개편을 통해 ‘가볍고, 빠르고, 실행력 있는 조직’을 구축하고, 자율과 책임 기반의 자기완결적 조직을 구축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