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부회장 이상철)는 데스크탑 가상화(VDI·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를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콜센터 시장에 진출한다고 27일 밝혔다. '클라우드 콜센터 VDI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상담원은 PC 모니터와 연결된 제로 클라이언트(Zero Client) 전용 단말을 통해 개별 ID와 패스워드 입력만으로 회사 또는 재택환경 어디에서나 동일한 콜센터 시스템으로 근무할 수 있다. 특히 민감한 고객정보가 가상화 환경에서만 호출되고 개인 PC단말이 아닌 서버에만 저장돼 정보 유출을 통제할 수 있고, 상담원 PC로의 불법 SW 및 바이러스 유입도 차단할 수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회사 관계자는 "은행, 보험사, 카드사 등 콜센터 보유 기업들은 상담업무 증가로 콜센터를 추가 확대할 때 유지보수 비용 증가나 상담원 PC관리의 어려움 등을 겪어 왔다"며 "클라우드 콜센터를 이용할 경우 저비용, 고효율의 대고객 상담 서비스가 가능해 상담원 PC 공간 활용도 증대, 전력 소비량 감소 등 근무 환경 개선효과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LG유플러스는 콜센터 운영업체가 100석 규모의 콜센터를 VDI로 형태로 구축하면 기존 대비 약 40% 가량 비용이 절감될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LG유플러스는 기존 콜센터 업체 외에 비용문제로 콜센터 서비스를 하지 못하는 중소업체들을 위해 콜센터에 필요한 인프라, 상담좌석 및 상담원, 다양한 단말기 등을 함께 제공할 방침이다. 홍걸표 LG유플러스 기반통신담당 상무는 "클라우드 콜센터 시대가 본격 열림에 따라 콜센터 업체는 비용절감은 물론 업무 생산성 향상을 꾀할 수 있고 상담사들도 스마트 워킹이 가능해졌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