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 영업이익의 1~2%를 양보하는 선에서 수수료 인하에 합의했으면 좋겠다"
공정거래위원회가 난항을 겪고 있는 유통업체의수수료 인하에 대해 한발 물러서 백화점 측이 주장하는 '영업이익의 1~2% 인하'선에서 합의점 도출을 모색키로 했다. 이에 따라 백화점 측의3~7%p 수수료 인하 대상이 되는 기업들에 대한구체적인 명단 제시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실무를 총괄하고 있는 지철호 공정거래위기업협력국장은 9일 뉴스1과의 통화에서 "공정위가 백화점 영업이익의 10%를 내놓으라고 했다는데 이는 잘못된 보도"라고 지적한 뒤 "영업이익의 1~2%를 양보하는 선에서3~7%p 수수료 인하안을 마련, 협의를 끝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공정위가 판매 수수료 인하 규모에 대해 영업이익의 1~2%수준을 수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은 처음이다.
지국장은 또 "지난달 수수료 인하안에 합의한 이후 백화점 측이 수수료인하 대상업체와 선정기준 등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를 내놓지 않고 있어 기다리고 있다"며 "이달 말까지는 구체적인 인하안을 제시했으면 하지만 서두르면 졸속협상이 될 수 있어 시간에 얽매이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가 우려하고 있는 직권조사와 관련해선 "수수료인하안을 내지 않았다고 직권 조사를 실시할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혐의가 있으면 조사를 하는 것은 당연하며 높은 수수료를 부담시키는 것은 불공정혐의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동수 공정위 위원장은 지난달 백화점, 홈쇼핑, 대형마트 등 11개 유통업체 대표들과 만나 동반성장 차원에서 중소기업의 판매 수수료율 인하를 당부한 자리를 갖고 "3~7%p 판매 수수료 인하안에 합의, 10월부터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백화점들이 인하안에 대해 부정적인입장을 나타내며 구체적인 실행안을 내놓지 않고 있어 공정위와 백화점측간 기싸움이 계속돼왔다.
공정위는 지난달 말 제시한 백화점 측의 판매 수수료 인하안이 기대에 못미친다며 지난 5일 백화점 3사 CEO를 재차 불러 논의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백화점측은 영업이익의 1~2%수준의 수수료 인하안을 제시했으나 공정위측은 구체적인 수수료 인하 기업 현황이 없는 등 만족스럽지 못하다며 백화점 측 제안을 반려했다.
이에 따라 업계에선 백화점 판매 수수료에 대한 공정위의'직권 조사'가 실시될 것으로 우려돼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