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을 중심으로 소아청소년 비만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1998년과 2007~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기초해 한국비만학회가 최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2~18세 소아청소년 비만이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급속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10년전과 현재를 비교해보면 소득 상위 25%의 소아청소년 비만율은 6.6%에서 5.5%로 감소했지만, 하위 25%에선 5.0%에서 9.7%로 2배 가까이 증가했다. 10년 전에는 고소득일수록 비만도가 높았다.
또한 소아청소년 비만 증가의 주요 원인인 영양불균형 문제도 저소득층에서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25%에선 지난 10년간 하루 에너지 섭취량이 235kcal 늘어난 반면 다른 소득층에선 하루 에너지 섭취량이 줄어들거나 거의 변화가 없었다. 하루 지방섭취량 또한 하위 25% 소득 계층에선 15.4g이 늘어난 반면 중간계층에선 줄었으며, 상위 25% 계층에선 8.1g이 늘어났다.
이러한 변화는 지방함량이 높은 값싼 고열량저영양식(패스트푸드)의 보급이 주요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소아청소년 비만은 성인비만으로 이어져 사회 경제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는 게 복지부 측의 설명이다.
이에따라 보건복지부는 전문학회 및 건강단체와 함께 비만예방실천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한국건강관리협회는 11일 서울광장에서 시민들을 대상으로 '내 체력 바로알기-체성분석 및 체력측정'을 실시한다. 10개 분야 체력측정을 통해 잘못된 정보로 효과적인 운동을 하지 못하는 국민들에게 맞춤형 운동 처방정보를 제공한다.
보건복지부에서 개발한 '오피스 짬짬이 체조' 포스터, 건강다이어리, 비만바로알기 책자, 아동 건강체조 지침서 등도 배포한다.
대한비만학회는 오는 16일 서울성모병원 성의회관에서 '비만의 날' 기념식 행사를 개최한다. 비만으로 인한 만성질환 증가와 의료비 지출 상승의 심각성을 알리기 위해 마련된 행사다.
이와관련,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비만의 연간 사회경제적 비용은 2008년 기준 총 1조7923억원에 달한다.
복지부 측은 "앞으로 어린이 먹을거리 안전기준 강화, 식생활 개선 홍보, 규칙적인 운동실천 홍보 등 보다 적극적인 비만예방대책을 수립해 추진할 예정"이라며 "아동기의 올바른 식생활과 운동습관을 생활화하기 위한 캠페인도 적극 전개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