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대표이사 하성민)은 영업에 우수한 성과를 보인 대리점 직원들이 본인 투자금 없이 3년간 대리점을 운영하도록 지원해주는 '티 마스터(T maste) 소(小) 사장제도'를 도입했다고 16일 밝혔다. 이 제도에 따라 대리점 사장이 되면 초기 투자비 없이 대리점 운영 경험을 쌓을 수 있고, 성과에 따라 재무적 보상을 받을 수 있어 소매 전문 경영인으로 성장하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SK텔레콤은 1년에 최대 4명을 선발해 대리점 운영을 맡길 예정이다. 'T 마스터 소사장'이 운영하는 대리점은 SK텔레콤이 직접 부동산 계약, 인테리어 구축 등을 진행하며, 관련 비용을 전액 부담한다. 매장 직원 채용, 급여 등 대리점 운영은 완전히 독립적으로 이뤄진다. 시스템 상으로는 T 마스터 소사장이 기존 소속된 대리점의 판매 대행 역할을 하며, 수익 중 일부는 기존 대리점에게도 돌아간다. 회사측은 최우수 직원 이탈로 인한 기존 대리점의 부담도 최소화 하고, 기존 대리점 사장과 경영 멘토링 관계도 자연스럽게 형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3년 뒤에는 본래 소속됐던 대리점 직원으로 돌아올 지, 3년간의 수익을 종자돈으로 직접 투자해 정식 SK텔레콤 대리점 사장이 될 본인이 직접 선택한다. SK텔레콤은 고객을 직접 만나는 대리점 직원들의 사기 진작이 고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판단, 지난 4월 대리점 직원을 대상으로 △적금 지원 △자기 계발 교육비 지원 △무료 건강검진 △위험보장 보험 무료가입 등 복리 후생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대리점 상생 복지 프로그램에는 연간 60억원의 재원이 들며, 대리점과 SK텔레콤이 절반씩 비용을 부담한다. 'T 마스터 소사장제도'를 통해 제1호 대리점장이 된 최영미 사장은 "평소 업무를 내 일처럼 생각하면서 열심히 일했는데, 정말 내 일이 됐다"며 "회사에서 꿈을 실현해 준만큼 앞으로 모든 SK텔레콤 대리점 직원들의 꿈과 모범이 될 수 있도록 성공을 이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조우현 SK텔레콤 영업본부장은 "상생을 통한 대리점 직원들의 행복 증진이 결국 SK텔레콤 고객의 행복으로 귀결될 것"이라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