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수일가의 지분율이 높고, 규모가 작은 비상장사 일수록 내부거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공정거래위원회는 대기업의 재산 증식을 위한 물량 몰아주기의 개연성이 있다고 보고 문제의 소지가 높은 업종과 기업을 중심으로 감시를 강화키로 했다. 17일 공정위가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이하 '대기업집단') 계열사 간 상품·용역 거래 현황(이하 내부거래현황)을 처음으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대기업집단의 전체 매출액(1201조5000억 원) 중 계열사에 대한 매출액(144조7000억 원) 비중(이하 내부거래비중)은 12.04%로 나타났다. 전체 비상장사(867개사)의 내부거래비중은 22.59%로 상장사(216개사) 8.82%보다 13.77%p 높았다. 특히 총수가 있는 집단(35개)의 내부거래비중은 12.48%로 총수 없는 집단(8개) 9.18%보다 3.30%p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총수일가 지분율이 30% 이상인 계열사(144개사)의 내부거래비중은 17.90%로 30% 미만인 계열사(831개사) 12.06%보다 5.84%p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총수일가 지분율이 50%이상인 계열사(83개사) 내부거래비중은 34.65%, 100%인 계열사(34개사)는 37.89%였다. 내부거래비중이 높은 회사는 집단 내 주력 계열사에 수직 계열화된 회사이거나 연구개발, IT, 마케팅, 기업물류 등 기업의 부가가치 창출과 관련된 회사로 조사됐다. 수직 계열화된 회사는 특정 계열사에 대해서만 매출이 발생하고, 거래회사 간 업종이 같거나 전·후방 연관관계에 있었다. 기업집단별로 내부거래비중이 높은 곳은 STX(23.49%), 현대자동차(21.05%), OCI(20.94%) 순으로 나타났다. 주력산업별로는 중화학공업(13.08%), 유통업(10.60%) 주력 집단의 내부거래비중이 높았다. 또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회사의 내부거래비중이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매출액이 1조 원 미만인 계열사(922개사)들의 내부거래비중은 29.06%로 1조 원 이상인 계열사(161개사) 10.05%보다 19.01%p 높았다. 자산총액이 1조 원 미만인 계열사(882개사)들의 내부거래비중은 30.11%로 1조 원 이상인 계열사(201개사) 9.92%보다 20.19%p 높게 나타났다. 정중원 공정위 경쟁정책국장은 "대기업집단 계열사의 내부거래는 다양한 변수가 존재해 일률적인 접근은 곤란하다"고 전제한 뒤 "다만 총수일가 지분율이 높고, 규모가 작은 비상장사의 내부거래비중이 높다는 사실로부터 재산 증식을 위한 물량몰아주기의 개연성은 존재한다"고 밝혔다. 정 국장은 "총수일가가 상대적으로 내부거래에 용이한 소규모 비상장사를 설립하거나 지분을 취득한 후 계열사들이 물량을 몰아줄 가능성 이 있다"며 "특히 SI, 부동산, 도매, 광고 등 특정업종에서 문제의 소지가 높은 것으로 나왔다"고 덧붙였다. 공정위는 앞으로 문제의 소지가 높은 업종·회사에 대한 선택과 집중을 통해 감시를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