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이 양국간 통화스와프 규모를 700억 달러로 확대하기로 합의했다.
이명박 대통령과 노다 요시히코 총리는 19일 청와대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한국과 일본, 양국 간 통화스와프 규모를 현재 130억 달러에서 700억 달러로 확대하기로 합의했다고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이 밝혔다.
양국 정상은 유럽 재정위기 등으로 최근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심화되는 가운데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금융·통화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같이 한 것으로 전해졌다.
재정부는 "양국 정상이 한·일 통화스와프가 '선제적'인 금융시장 안정효과를 거둠으로써 '양국 모두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충분한 규모'로 통화스와프를 확대하는데 의견을 일치했다"고 말했다.
현재 130억 달러의 한·일 통화스와프는 원-엔 스와프 30억 달러와 '치앙마이 이니셔티브(CMI)' 통화스와프 100억 달러로 구성돼 있다.
이 중 한국은행과 일본은행이 체결한 원-엔 스와프는 30억 달러에서 300억 달러로 10배 확대된다.
또 기존 CMI 통화스와프와 별도로 한국은행과 일본 재무성이 300억 달러 규모의 달러-원/엔 스와프를 설정하기로 했다.
이번 한·일 통화스와프 확대에서 주목되는 점은 교환통화에 달러 이외에 양국 통화인 원-엔도 포함시켜 외화유동성 공급효과를 극대화 했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한국이 통화스와프 인출시 한국은 700억 달러 규모의 원화를 제공하고, 일본은 300억 달러 규모의 엔화와 400억 달러 규모의 달러를 공급한다. 반대로 일본이 인출시 일본은 700억 달러 규모의 엔화를 제공하고, 한국은 300억 달러 규모의 원화와 400억 달러를 제공한다.
통화스와프는 체결일로부터 1년간 유지된다.
재정부 관계자는 "외환보유액(3034억 달러)과 중국과의 통화스왑(260억 달러)에 추가로 일본과 700억 달러 규모의 유동성 공급 라인을 구축하게 됐다"며 "한·일 통화스와프 확대는 외화유동성 우려를 완화, 국내 은행과 기업들의 차입 여건을 개선하고 국가신용등급의 안정적 유지를 위한 토대를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