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수산식품부는 김장 주재료인 배추와 무는 지난해보다 생산량이 늘어 가격이 낮게 형성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건고추와 마늘 가격은 평년에 비해 높을 것으로 전망했다. 농식품부는 김장시기별 가격정보를 제공하고 건고추와 마늘의 정부수입 물량과 계약재배 물량을 김장철에 집중 공급키로 했다. 농식품부는 20일 이같은 내용의 김장채소 수급안정방안을 발표했다. 농식품부는 가을배추 생산량은 146만2000톤으로 작황이 좋지 않았던 전년에 비해 27만4000톤, 평년에 비해 9만1000톤 많을 것으로 예상하고 김장 성수기(11월중순~12월상순) 배추 소매가격은 포기당 1500~2000원으로 평년 및 전년에 비해 낮을 것으로 전망했다. 가을무도 생산량이 55만8000톤으로 작황이 좋지 않았던 전년에 비해 8만5000톤 많고, 평년에 비해 3만톤 정도 적을 것으로 예상돼 소매가격은 개당 1500~1800원으로 평년 및 전년에 비해 낮을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건고추는 생육기(7월~8월중순) 집중호우 및 태풍 등 영향으로 생산량 감소폭이 커 소매가격은 600g당 1만5000~1만7000원으로 평년 및 전년에 비해 높을 것으로 예상했다. 마늘도 생산량이 평년에 비해 적어 소매가격은 kg당 6300~7000원으로 전년에 비해서 낮고, 평년에 비해 다소 높을 것으로 전망했다. 농식품부는 올해 김장채소 수급 안정을 위해 김장시기별 김장비용 제공(kamis.co.kr), 김장시장 개설 및 운영 확대, 김장담그기 행사 등 소비자들에게 김장재료 구입 정보와 편의를 적극적으로 제공키로 했다. 또 국내산 공급량이 부족한 건고추와 마늘은 정부수입 물량과 계약재배 물량을 김장철에 집중 공급하는 등 시장 공급량을 늘리기로 했다. 반면 공급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배추는 일정물량 저장 등 시장격리, 수출 확대와 생산자단체 중심의 자율적 수급조절을 병행 추진키로 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