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이 지난 7월 치솟는 기름 값을 잡기 위해 구상중이라던 '알뜰주유소'가 모습을 드러냈다. 알뜰주유소란 한국석유공사와 농협중앙회 등이 낮은 가격으로 공동 구매한 석유제품(휘발유, 경유 등)을 받아, 소비자들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하는 주유소를 의미한다.
지식경제부는 오는 2015년까지 전체 주유소 1만3000개 중 최소 10%에 해당하는 1300개의 주유소가 이런 방식으로 영업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3일 발표했다.
전문가들은 알뜰주유소가 본격 도입되면 지금보다 기름 값이 리터당 70∼100원 정도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강영원 석유공사 사장도 최근 기자 간담회에서 이 같은 입장을 나타냈다.
지경부는 알뜰주유소를 기존 주유소 사업자나 신규 사업자 할 것 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열린 주유소로 만들 방침이다. 다만 주유소 신설은 최대한 억제할 계획이다.
지경부는 우선 자가폴 주유소협의회에 가입한 50여 개 주유소를 알뜰주유소로 전환할 생각이다. 정유사와 공급계약을 맺고 있는 200여 농협 주유소도 알뜰주유소 형태로 바꿀 예정이다. 또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에 있는 167개 주유소를 순차적으로 알뜰주유소로 변경할 계획이다. 이와 별도로 에너지 기업 중 일부가 올해 말에 사업영역 다변화와 사회공헌 차원에서 서민을 위한 사회공헌형 알뜰주유소를 설립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알뜰주유소는 자가폴 주유소, 농협 주유소, 고속도로 주유소, 기업의 사회적 공헌형 주유소 등 4가지 형태로 운영될 전망이다. 지경부는 앞으로 1년 내에 500여 개 이상의 알뜰주유소가 나올 것으로 예측했다. 또 사업이 안정화되는 2015년쯤엔 더 많은 사업자들이 알뜰주유소로 전환, 최소 1300개 이상이 이런 형태로 영업할 것으로 내다봤다.
석유공사와 농협은 이날 석유 공동 구매를 위한 입찰 공고를 냈다. 이달 중에 공급자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이들 기관은 국내 정유사 외에도 해외 정유사로부터도 저가의 제품을 확보, 주유소들에게 보급하는 등 기름 값 인하를 위해 다양한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정부가 이처럼 알뜰주유소를 내놓은 이유는 "국내 석유시장이 정유4사에 의한 독과점 구조로 돼 있어 경쟁이 제한적이다"는 판단 때문이다. 알뜰주유소를 통해 새로운 방식의 공급자와 판매자가 시장에서 활동, 가격인하를 선도하면 소비자 후생이 증가할 것이란 생각이다.
지경부는 앞으로 알뜰주유소 전환을 활성화하기 위해 시설개선 비용을 지원하고, 품질보증 프로그램을 적용해 소비자 신뢰를 높일 계획이다. 시설개선 자금을 70%(2300만 원 한도)까지 지원하고, 알뜰주유소 전환에 대한 사업자의 부담을 줄여줄 방침이다.
이밖에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기 자동차의 보급에 따라 새로운 사업 영역으로 떠오를 '전기차 충전소 설립 및 지원 정책'을 알뜰주유소와 연계하는 '중장기 종합 에너지 판매소 전략'도 준비 중이다.
정재훈 지경부 에너지자원실장은 "안정적 수요기반 확보를 위해 공공기관과 공기업의 알뜰주유소 활용을 의무화하고 기관 평가에 반영할 방침이다"며 "알뜰주유소에 대한 물량 공급은 석유공사와 농협이 공동 추진 중인 입찰 계약이 발효되는 12월 중에 개시될 예정이다"고 말했다.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