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자동차가 고객과 만나는 공간 뿐 아니라 생산 현장에도 디자인을 바탕으로 브랜드 경영을 펼친다.
기아차는 공장의 전시실, 강당, 견학로 등에 기아차 만의 공간 정체성(Space Identity·SI)을 적용해 공장을 생생한 기아 브랜드 체험 공간인 ‘레드 프레임’을 꾸몄다고 10일 밝혔다.
기아차는 지난해 자사만의 레드 큐브를 개발해 고객 응대 공간에 적용했다.
SI는 고객들이 자주 접하는 영업 및 서비스 접점 공간뿐만 아니라 임직원들을 위한 내부 사무공간 디자인, 가구 배치, 색깔에 이르기까지 전체적 공간과 시설에 브랜드 정체성을 반영한 것이다.
기아차는 연간 4만명 이상이 방문하는 공장을 기아 브랜드 체험공간으로 탄생시키기 위해 기존의 단조로운 공장 이미지를 탈피해 디자인과 디지털을 테마로 회사 역사 전시실, 강당, 견학로 등 공장 내 주요 시설을 새단장했다.
공장별로 특징을 잘 설명하는 테마형 전시공간을 마련해 방문객의 이해를 도왔다.
소하리 공장의 경우 한국 최초의 국산 승용차 브리사가 생산된 공장으로서 역사성을, 하이브리드 차량이 생산되는 화성 공장은 친환경, 광주 공장은 광주 비엔날레 등 예술을 테마로 정했다.
기아차 관계자는 “소하리 공장은 단순히 자동차 생산만 하는 곳이 아니라 공장을 방문하는 고객들이 보다 기아차를 잘 알 수 있는 소통의 공간으로 탈바꿈했다”며 “판매, 서비스에 이어 생산 현장까지 기아차 고유의 공간 아이덴티티를 적용해 고객들이 언제 어디서든 젊고 역동적인 기아브랜드를 생생히 체험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