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블TV(유선방송사업자·SO)와 지상파방송사 간 재송신 분쟁이 장기화 되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시정명령을 내세우며 사업자들을 압박하고 있지만 양 사업자간 협상재개 일정조차 잡히지 않고 있다.
케이블TV비상대책위원회는 5일 성명서를 내고 지상파가 재송신 협상에 나서야한다고 촉구했다.
케이블 비대위는 성명서에서 "지난 2일 방통위가 지상파 재송신 재개를 위한 사업자간 협상이 진행될 것임을 공식화 했지만 이틀 만에 지상파측이 이를 뒤집었다"며 "방송 중단 사태를 조속히 해결하려면 양측 사장단이 직접 나서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실무협상단 논의는 이미 결렬돼 양측 최종의사결정권자인 사장단 협상테이블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했지만, 지상파는 정책기구인 방통위 제시안마저 거부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비대위 관계자는 "지상파 사장들이 대외적으로 합의해 놓고도 실무진과 논의 후 이를 번복하는 비상식적인 일이 계속되고 있어 정부 중재와 공증은 필수"라고 강조했다.
앞서 지상파 재송신 대가수준을 놓고 갈등을 빚어온 지상파 3사와 SO들은 지난 2일 방통위 중재로 HD방송 재개에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었다.
당시 방통위는 전체회의에 양측 사장단들이 출석, 협상시작과 동시에 케이블TV의 지상파 HD방송 재개에 합의했다고 밝히면서 3일 오후쯤이면 케이블TV의 지상파 HD방송이 재개될 것으로 예상했다.
방통위는 또 홍성규 방통위 부위원장의 중재로 7일간 협상이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이러한 예상을 뒤엎고 지상파 3사는 지난 4일 보도자료를 내고 “방통위의 발표내용은 사실과 다른 일방적인 것”이라고 합의사실을 부인했다.
방통위의 중재에도 불구하고 사업자들의 협상 재개가 늦춰짐에 따라 지난달 28일 이후 8일째 지속되고 있는 케이블의 지상파HD 재송신 중단 사태도 장기화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한편 방통위는 이날 전체회의를 열고 재송신 중단 사태에 대한 시정명령을 논의할 예정이다.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