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선 현대자동차 부회장(사진)이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다음으로 국내 3대 주식갑부로 등장됐다. 19일 '재벌닷컴'에 따르면 정 부회장은 현대글로비스 주가가 급등하면서 보유주식 평가액이 연초 2조1688억원에서 2조 8516억원으로 6828억원이 불어나면서 5위에서 3위로 뛰어올랐다. 정 부회장은 현대글로비스 주식 31.88%를 보유하고 있으며 연초 15만1000원이던 글로비스 주가가 지난 15일 종가 기준 20만1000원으로 33.1% 상승했다. 여전히 1대 주식부호로 꼽히는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은 올해초 9조2769억원을 지니고 있었으나 삼성생명과 삼성물산 주가가 올해 19% 가량 떨어져 보유주식 평가액이 8조6864억원으로 떨어졌다.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은 지난 8월과 10월 현대글로비스 주식 247만여주(5000억원)를 해비치재단에 증여해 개인 보유 주식자산이 연 초대비 2694억원 줄었으나 상장사 주식부자 2위 자리는 유지했다. 선물투자로 검찰조사를 받고 있는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최대주주로 있는 SK C&C의 주가가 49.6% 상승하면서 지분가치가 5423억원이 늘어 2조5010억원으로 주식부호 순위도 8위에서 4위로 올랐다. 한편 정몽준 전 한나라당 대표의 주식지분 가치는 올들어 1조 5454억원이 증발해 상위 100대 부자 중 감소액이 가장 컸다. 정 전 대표가 지분 10.8%를 보유 중인 현대중공업은 올해 매출이 늘어났음에도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20% 감소하면서 연초 43만 5000원에서 26만 2500원으로 43.3%나 폭락해 부호순위도 3위에서 5위로 2계단 하락했다. 안철수 서울대융합과학기술원장이 대주주로 있는 안철수연구소도 연초 1만 9300원에서 11만 8400원으로 513.5%가 폭등해 718억원에 불과하던 안 원장의 지분가치가 4404억원으로 6배 증가했다. 더불어 225위던 부호순위도 37위로 188계단 수직상승했다. 뉴스1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