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세계 최초로 친환경 소재인 비스무스(Bi)를 첨가한 쾌삭강을 개발해 양산에 들어갔다고 1일 밝혔다. 쾌삭강은 그동안 국내에서 생산하지 않던 품목으로 향후 수입대체효과가 기대된다. 포스코는 이 제품을 지난해 8월 LG전자에 첫 공급하고 올해부터 TV전 제품에 확대 적용키로 했다. 쾌삭강(Free Cutting Steel)이란 원형 형태의 가늘고 긴 철강재인 선재 제품의 한 종류다. 다양한 모양으로 표면이 잘 깎이고 가늘고 긴 구멍이 잘 뚫리는 등 가공성이 뛰어나다. 자동차 변속기 부품, TV본체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고정시키는 조립용 부품 등에 쓰인다. 그 동안 쾌삭강은 납(Pb)을 첨가한 쾌삭강이 대부분이었다. 납 쾌삭강은 가공성은 우수하지만 작업 시 발생하는 납 성분이 인체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또 폐기 시 발생하는 유해성분으로 인해 환경오염의 우려도 커 미국, 일본, 유럽 등에서 대체 소재 개발을 해 왔다. 이에 포스코는 지난 2005년부터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친화적인 쾌삭강 개발에 나섰다. 위장약, 음료, 화장품 등을 만드는 데 쓰이는 성분인 비스무스를 첨가해 가공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유해성분이 전혀 없는 친환경 쾌삭강 양산 개발에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 포스코 관계자는 "이 쾌삭강은 지난 7월 LG전자로부터 품질 인증을 받아 TV 설계 도면에 정식 소재로 등록됐다"며 "8월에 초도 공급해 적용시험을 마쳤으며 올해부터는 LG전자에서 생산하는 모든 TV제품에 확대 적용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쾌삭강은 전 세계적으로 연간 150만 톤가량 생산되고 있으며 국내에서 연간 3만5000톤 전량을 수입하고 있다. 비스무스 쾌삭강이 납 쾌삭강을 대체하게 되면 수입 대체 효과도 클 뿐 아니라 고부가가치 제품이라는 점에서 수익성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포스코는 예상했다. 포스코는 비스코스 쾌삭강이 LG전자 외에도 최근 현대·기아차로부터 자사적용 부품 소재 인증을 받았고 삼성전자에도 인증 절차를 밟고 있어 향후 수요가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뉴스1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