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존 재정위기 등으로 올 1분기 국내 경기가 냉각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시중 은행들은 2년여 만에 대출 문턱을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행이 4일 발표한 '대출행태 서베이'에 따르면 올 1분기 국내 은행들의 대출태도지수는 지난해 4분기 5에서 6포인트 급락한 1로, 지난 2009년 4분기 때 4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로 떨어졌다. 은행 대출태도지수가 마이너스를 보였다는 것은 은행이 대출규제를 강화하겠다는 의미다. 부문별로 보면 올해 1분기 대기업 대출태도지수는 6으로 전분기보다 3포인트 올랐다. 반면 중소기업 대출태도지수는 지난 2년간 플러스 구간을 지속했지만 올 1분기에 9에서 0으로 떨어졌다. 가계일반 대출태도지수는 0에서 ?3으로 떨어졌고, 가계주택 대출태도지수는 전분기와 같은 9를 유지하며 국내 은행들이 가계대출규제를 강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전반적인 신용위험은 악화됐다. 중소기업, 대기업, 가계 부문 등을 종합한 신용위험지수는 지난해 4분기 9에서 올 1분기 19로 급등하면서 지난 2009년 4분기(24)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뛰었다. 대기업의 신용위험은 같은 기간 3에서 올해 1분기 6, 중소기업은 13에서 28, 가계는 6에서 13으로 모두 높아졌다. 이번 조사 결과 은행들이 문턱을 높이고 신용위험이 커질 것으로 예상됨에도 대출 수요는 여전히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국내 은행의 대출수요지수는 지난해 2분기부터 꾸준히 상승해 4분기 16에서 올 1분기 19로 상승했다. 중소기업 대출수요지수는 지난해 4분기 22에서 올 2분기 31로 급등했고, 대기업 대출수요지수는 9로 전분기와 같았다. 한은 관계자는 이에 대해 "영업활동을 통한 현금 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 운전자금을 미리 확보하려는 수요가 늘어날 것이다"고 전망했다. 가계주택 대출수요지수는 3에서 6으로 올랐고, 가계일반 대출수요지수는 13에서 9로 하락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12일부터 23일까지 16개 국내은행(산업, 수출입은행 제외)의 여신업무 총괄담당 책임자를 대상으로 시행됐다. 뉴스1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