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원전공사 수주에도 최고가치 낙찰제가 도입된다.
또한 원전 정비 및 용역 하도급 업체에 대해 삼진아웃제를 실시한다.
지식경제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원전고장정지 재발방지를 위해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의 '원전고장정지 재발방지 대책'을 9일 발표했다.
지경부는 지난해 말 원전의 운영 실태를 특별 점검하고 이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구해 15개의 개선사항을 한수원 측에 요청했다.
이에 한수원은 지경부의 개선요구 사항을 바탕으로 원전 무결점 운전을 위해 16개 항목의 추진방안을 마련했다.
우선 한수원은 원전 고장정지 재발방지 대책을 위해 외부전문가로 구성된 고장원인 정밀조사단을 구성해 운영하고 이와 별도로 설비기술검증위원회도 구성한다.
또한 협력사 과실로 고장이 세 차례 나면 자격을 취소시키는 '삼진아웃제'도 실시된다.
오는 2013년 하반기에 발주될 신고리 5, 6호기 주설비공사부터 영국, 미국, 일본 등에서 시행되는 최고가치 낙찰 방식을 도입하기로 했다.
이 밖에 한수원은 인적역량을 강화하고 홍보전문가와 지역본부에 자문단을 구성해 대외소통에도 힘쓰기로 했다.
최태현 지경부 원전산업정책관은 "일본원전사고 이후 원전고장정지에 대해 높아진 국민적 관심과 우려를 감안할 때 정부와 공기업이 한층 더 노력해야 할 시점"이라며 "지경부는 추진과제에 대한 철저한 이행점검을 실시하고 주요핵심 과제를 올해부터 한수원 기관장 및 경영 평가에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최태현 정책관은 또 "차질 없는 이행을 통해 우리 원전에 대한 국민 신뢰를 높이는 데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