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미콘 가격을 둘러싼 갈등으로 22일 전국 레미콘 공장이 대부분 멈춰섰다.
원재료인 시멘트업계가 일방적으로 가격을 올리고, 고객사인 건설업계는 이같은 가격인상분을 반영하지 않자 레미콘 업계가 강수를 둔 것이다.
레미콘·시멘트·건설업계는 이날 오후 3자 회의를 열고 가격 협상을 시도할 예정이어서 결과에 관심이 쏠린다.
한국레미콘공업협동조합연합회는 앞서 예고한 대로 750여 개 소속사들이 일제히 조업을 중단했다고 22일 밝혔다. 연합회는 앞서 지난달 31일 기자회견을 열고 시멘트업계가 통보한 가격 인상안 철회를 요구하며 수용되지 않을 경우 무기한 조업중단에 들어가겠다고 발표했다.
연합회 관계자는 "연합회 소속 750여개 중소 레미콘사들이 오늘부터 레미콘 생산을 중단했다"며 "시멘트 가격을 낮추거나 건설업체들이 매입가격을 올려주지 않는 한 가동을 재개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연합회 소속 중소업체들은 차량을 동원해 유진, 삼표, 아주 등 대형 레미콘기업들의 공장을 들러싸고 레미콘 출하를 저지하고 있어 사실상 전국적으로 레미콘공급이 중단된 상황이다.
레미콘업계가 강수를 둔 것은 시멘트업계가 가격인상을 밀어붙이면서 수익성이 악화된 상황에서 고객사인 건설업계는 이같은 원가인상분을 구매가격에 반영하지 않고 있어서다. 시멘트는 레미콘의 원재료다.
실제 국내 시멘트 업계는 지난 연말 레미콘 업체들에게 공급하는 시멘트 가격을 톤당 6만7500원에서 7만5000원으로 15%가량 인상했다. 게다가 시멘트업계가 지난해 6월에도 가격을 35% 인상했는데, 레미콘가격은 이에 한참 못미치는 3~4%만 인상하는데 그쳐 불만이 컸다.
지난 20일 지식경제부와 국토해양부 주재로 레미콘·시멘트·건설업계가 3자 회의를 열어 2주일의 조정기간을 거쳐 최종 가격 협상안을 찾는다는 원칙에 합의했지만 가격문체를 놓고 합의에 이르진 못했다.
이들 업계는 22일 오후 2차 회의를 열고 가격협상에 다시 나설 예정인데,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이번 조업중단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건설업계의 아파트 분양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건축 및 토목사업의 주원료인 레미콘은 보통 1시간 안에 굳기 때문에 재료를 보관할 수 없다. 따라서 레미콘회사들이 조업을 중단하는 즉시 건설 작업도 중단된다. 아파트 분양일자가 정해져 있는 건설사들에게는 레미콘 조업중단이 '아킬레스건'인 셈이다.
레미콘업계는 지난 2008년에도 가격협상이 결렬되면서 조업중단에 돌입한 전례가 있다. 당시 조업중단 기간은 3일에 그쳤다.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