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가계 이자 비용이 크게 늘어나면서 가계소득 중 이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가계소득에서 이자를 포함해 세금이나 사회보험 등으로 나가는 비소비지출 비중도 사상 최대였다.
26일 통계청에 따르면 2011년 가계소득증가율은 5.8%에 그친 반면 이자비용은 전년대비 월 평균 13% 늘어나 8만7854원을 기록했다.
소득의 증가하는 속도에 비해 이자비용 증가 속도가 2배에 달한다는 의미다.
특히 소득 하위 20% 계층(1분위)의 이자비용 증가율이 가장 높아 저소득층의 이자부담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1분위 이자비용은 월평균 2만8803원으로 2010년보다 24.7% 급증했다. 다음이 소득수준이 중위 40~60%인 3분위로 21.6%(월평균 8만7741원), 소득분위 하위 40%인 2분위는 16.8%(월평균 5만5326원) 등의 순이었다.
이자비용이 크게 늘면서 이자가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3%로 통계를 작성한 2003년 이후 가장 높았다.
2003년 1.7%였던 이 비율은 2007년까지 거의 변동이 없었지만 2008년부터 점차 오르기 시작해 4년 연속 증가했다.
가계부채가 900조원을 넘어서는 등 가계 빚이 크게 늘어나면서 이자가 살림살이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지고 있는 셈이다.
이자를 포함한 비소비지출이 가계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사상 최대였다. 비소비지출은 세금, 공적연금, 사회보험, 비영리단체로 이전, 가구간이전 등 소득에서 소비지출 및 자산구입 외에 쓴 돈이다.
2011년 전국 가계의 월평균 비소비지출은 72만2880원으로 전년대비 7.2% 증가했다. 소득증가율(5.8%)은 물론 식료품, 주거비, 교통·통신비 등을 합친 소비지출 증가율(4.6%)보다도 높았다.
이에 따라 비소비지출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8.8%로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높았다.
예를 들어 월 소득이 100만원인 사람은 세금, 국민연금, 의료보험, 대출이자 등으로 약 19만원을 지출한다는 얘기다.
비소비지출은 경직성 비용으로 소득에서 사전에 공제되는 항목이 대부분이라 이 금액이 늘수록 처분가능소득이 줄게 된다.
처분가능소득이 줄면서 지난해 적자가구 비율은 26.4%로 전년(26.0%)보다 상승했다.
특히 소득 1분위 적자가구 비율은 56.6%를 기록, 전체 5분위 중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