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중소·중견기업 수출 경쟁력이 세계 최고 기업의 경쟁력을 100점으로 봤을 때 74점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수출 중소·중견기업 300여 개를 대상으로 '수출경쟁력 실태와 개선과제'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조사에 참여한 기업들은 자사 제품의 '가격 경쟁력'에 대해선 74.5점, '품질·디자인 경쟁력'은 77.3점, '기술 경쟁력'은 77.7점, '마케팅 경쟁력'은 67.8점으로 평가했다. 4개 항목의 평균은 74.3점이다.
응답 기업의 64.5%S는 자사의 전반적 수출 경쟁력 수준에 대해 '중위권'이라고 답했다. '상위권'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22.5%, '하위권'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13%로 집계됐다.
수출경쟁력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는 42.7%의 기업이 '가격'을 꼽았다. '품질·디자인'이 32.2%, '기술'이 18.6%, '마케팅'이 6.5%의 지지를 얻었다.
수출시장에서 중소·중견기업들을 위협하는 경쟁국을 묻는 질문에는 '중국'이 40.7%의 응답을 받아 1위를 차지했다. '일본'이 18.2%, '유럽'이 13.4%, '한국'이 11.4%로 뒤를 이었다.
자유무역협정(FTA) 활용 계획을 묻는 질문에 응답 기업의 68.1%가 '수출 증진을 위해 FTA를 활용할 것'이라고 답했다. '활용할 생각없다'는 대답도 31.9%가 나왔다. 한미FTA와 관련해 '아직 활용계획을 수립하지 못했다'는 응답이 45%로 가장 많았다.
정부의 수출지원제도 이용 여부에 대해 '이용한 적이 없다'는 응답이 58.6%로, '이용한 적이 있다' 41.4%보다 많았다. 수출지원제도를 이용하지 못한 이유에 대해 '도움이 되는 지원제도가 별로 없거나 지원대상이 아니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55%로 가장 많았다.
전수봉 대한상의 조사1본부장은 "무역 2조 달러 달성을 위해 중소·중견기업 수출경쟁력 강화가 필요하다"며 "기술, 디자인, 마케팅 역량을 높이기 위한 중소·중견기업의 자구적 노력과 환율의 안정적인 운용, 수출금융지원 등 정책적 지원이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