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소비자의 절반 이상은 지역특산품 가격에 상관없이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결혼을 했거나 연령이 많거나 소득수준이 높은 기혼자 일수록 선호도가 높았다.
22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수도권에 살고 있는 여성 500명을 상대로 '지역특산품 구매실태와 정책과제'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52.8%는 '수입농산물보다 비싸더라도 지역특산품을 구매한다'고 답했다.
미혼여성(50.0%)보다는 기혼여성(53.1%)에서, 자녀가 없는 경우(48.0%)보다 있는 경우(53.3%)가 지역특산품 구매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이 높을수록 지역특산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20대의 경우 43.6%이지만 50대 이상은 56.4%이다.
소득수준에 따라서도 선호도가 차이가 났다.
100만원 미만 저소득층은 21.4%에 그쳤지만 400만원대와 500만원 이상 소비층은 각각 69.0%, 57.9%로 나타났다.
지역특산품을 선호하는 이유로는 '제품의 안전성'이 43.4%로 가장 높았고 친환경(19.6%), 독특한 맛과 멋(18.6%) 등이 뒤를 이었다.
주로 구입하는 지역특산품은 과일(49.4%), 곡물(42.4%), 채소(33.0%) 등이다.
지역특산품의 소비자만족도는 10점 만점에 7.3점으로 수입농산물(4.3점)이나 일반제품(6.1점)보다 높게 나타났다.
대한상의는 "지역에서 생산되는 특산물을 구매하는 것은 내수진작과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큰 보탬이 된다"며 "지역특산품에 대한 소비패턴을 면밀히 분석해 판매활동을 적극 펼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지역특산품을 구매할 때 가장 크게 고려하는 것은 품질(45.2%)이고 판매처의 신뢰도와 포장상태나 인증표시 등도 주요 고려사항에 포함됐다.
구입 장소는 목적에 따라 다르게 조사됐다. 평소에는 '슈퍼마켓·재래시장이나 대형마트에서 구입했지만 선물용은 우 백화점이나 현지에 직접 방문했다.
한편 지역특산품의 개선 과제로는 '불분명한 원산지 표기(34.0%)', '고르지 않은 품질(31.2%)', '복잡한 등급체계(4.0%)' 등을 꼽았고 응답자의 83.4%는 이러한 문제들이 고쳐진다면 지역특산품 구매를 더 늘릴 것이라고 답했다.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