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16년까지 시내버스 10대 가운데 4대가 저상버스로 바뀐다.
저상버스는 장애인이나 노인, 임산부 등 교통약자들이 버스에 쉽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출입구를 낮추고 출입구에 경사판을 설치한 버스를 말한다.
이와 함께 2016년까지 농어촌 지역을 겨냥한 한국형 중형저상버스를 개발한다.
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제2차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계획'을 확정했다고 25일 밝혔다.
국토부에 따르면 전국 저상버스 보급률은 지난 2011년말 현재 12%에 달한다. 일반 버스가 한 대당 8000만원인 데 비해 저상버스는 1억8000만원으로 비싼 게 흠이다.
국토부는 지자체 여건과 교통약자 현황 등을 고려해 저상버스 도입을 단계적으로 도입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2016년까지 시내버스의 41.5%를 저상버스로 바꿀 계획이다.
지역별로는 서울특별시가 55%로 가장 많고 6대 광역시와 경기도는 40%, 그외 지역은 30%다.
이와 함께 2016년까지 농어촌지역과 낙후지역 교통약자를 겨냥해 한국형 중형 저상버스를 개발해 보급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저상버스는 일반 버스에 비해 가격이 2배 이상이기 때문에 도입하는 데 따른 재정적 부담이 크다"며 "정부 연구기관과 연구개발을 통해 생산비용은 낮추면서 한국실정에 맞는 맞춤형 저상버스를 생산하는데 주력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