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이 철강 산업의 덤핑 방지를 위해 한 자리에 모인다. 과다한 공급에 따른 아시아 시장을 함께 보호하기 위해서다.
4일 머니투데이에 따르면 3국의 철강업계 관계자들은 오는 5일 일본 도쿄에서 철강업계 민·관공동회의를 열고 업계 현안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다.
다뤄질 안건은 철강 현안에 대한 정보 교류, 세계 철강 시장 동향, 철강 무역에 관련되 통상 이슈 등 3가지다. 이 가운데 가장 중요하게 논의될 부분은 철강 덤핑에 관한 마찰을 막기위한 대책이다.
지난해 대지진을 겪은 일본은 과잉생산 된 철강 물량을 자국 내 거래가보다 최고 20% 싼 가격에 한국으로 수출했다. 이로 인해 국내 철강업계는 중국산 저가 철강에 이어 한 차례 더 타격을 입은 셈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정부 및 업계는 일본에 철강 덤핑 수출에 대한 방지책을 요구하고 나설 방침이다. 공정 무역을 담보하기 위해 양국 간 품목별 분과위원회를 설치할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와 일본, 두 나라는 중국의 저가 철강재 및 보론강 편법 수출 문제의 심각성에 대해 공감해 이에 대한 공동 대응책도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와 일본이 중국의 저가 철강 수출을 문제삼은 가운데 중국의 증치세 개정에 대한 압박도 높아지고 있다.
중국은 일반강을 제외한 합금강에 대해서만 9%의 증치세를 환급해주는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이 때문에 중국 업체들이 일반강에 붕소를 넣은 보론강을 만들어 수출해 아시아 철강시장에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국내 철강업계는 지난달 23일 중국 상하이에서 '한·중 봉·형강 및 열연 품목별 분과위원회'를 열고 중국에 보론강 수출 자제를 촉구했다. 정부 역시 중국내의 대사관을 통해 중국 정부에 증치세 개정을 요구했다.
국내 철강업계는 중국 정부가 지금까지 증치세 개정에 소극적이었으나 이제부터는 이 같은 무역 공조에 동참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한편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국내 철강업계는 한국철강협회와 함께 불공정 무역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고자 지난 1월 '철강통상대책위원회'를 발족했다.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