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10일 "금융위기 이후 금융안정을 도외시한 물가안정만으로는 실물경제의 안정을 확보하기가 어렵게 됐다"고 언급했다. 김 총재는 이날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한국은행·국제결제은행(BIS)·국제통화기금(IMF) 컨퍼런스의 기조연설에서 "글로벌 금융위기를 통해 통화정책과 거시건전성의 조화로운 운용이 중요하다는 사실이 입증됐다"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학계에서는 물가안정이 과잉투자 등을 예방함으로써 경제의 효율성을 증진시켜 안정적인 실물경제 성장에 필요조건으로 작용하며 중앙은행은 물가안정에 주력해야한다는 암묵적인 동의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금융위기 이후 중앙은행의 역할 가운데 물가안정만큼이나 거시건전성과 금융안정이 중요하게 부각했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김 총재는 "거시와 금융간 연계성을 감안하면 실물경제 및 금융부문의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을 경우 경제의 불안정성은 지속될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글로벌 경기회복에 대한 노력이 긴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현재의 접근방안을 통해 지속적이며 안정적인 글로벌 균형을 달성하고 위기 재발의 악순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견해가 제기되고 있다"고 했다. 김중수 총재는 "글로벌 금융위기의 해결도 궁극적으로는 세계 경제 전체의 회복에 달려있으며 이러한 측면에서 국제사회는 세계 경제성장을 견인하고 있는 아시아 신흥시장국들에 대한 투자 증대를 통해 균형을 달성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뉴스1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