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보금자리주택지구를 저탄소 친환경도시로 만든다.
보금자리주택은 정부가 무주택 서민을 위해 공급하는 주택이다. 지난 2009년부터 2018년까지 중소형 분양주택 70만가구와 임대주택 80만 가구등 총 150만가구를 공급한다.
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는 17일 보금자리주택지구를 온실가스 배출은 최소화하고 입주민에게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하는 친환경 주택지구로 만들기 위해 이달부터 올해 8월까지 '저탄소 환경계획 수립기준' 연구용역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는 보금자리주택 단지가 도심 인근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해 만들어진다는 점을 감안할 때 도시개발에 따른 탄소 배출량 감소가 중요하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국토부는 개발제한구역 해제의 대안으로 그린벨트(GB)해제면적의 10% 정도를 훼손지 복구용지로 공급하는 방식에 머물지 않고 보금자리 지구 전체를 친환경 지역으로 만들어 환경훼손을 통한 보금자리가 아니라 환경을 보호하는 보금자리로 만들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태양열과 풍력시설을 잘 갖춰 녹색성장의 대표적 성공사례로 꼽히는 독일 프라이브르크는 바람길을 이용해 도시온도를 3℃ 낮추고 있다"며 "보금자리주택지구도 단지내 주차장과 출입구, 주요 근린시설을 배치할 때 탄소배출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보금자리주택지구 아파트 단지에서 통근, 통학, 쇼핑 등에 자동차 운행거리를 100m 단축하면 연간 탄소 배출량을 약 500㎏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토부는 보금자리주택지구 가운데 시범지역인 서울 고덕강일을 정해 이같은 탄소감축계획을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