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건강기능식품 생산액은 전년대비 28.2% 증가한 1조3682억원이며, 이 가운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품목은 홍삼제품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육류 섭취 증가로 오메가-3와 비타민 제품에 대한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지난해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고 9일 밝혔다.
지난해 건강기능식품 생산액은 1조3682억원으로 전년(1조671억원) 대비 28.2% 증가했다. 이는 건강기능식품 연평균 성장률(27.4%)과 비슷한 수준이다.
지난해 건강기능식품 생산액은 건강기능식품 제도가 시행된 2004년 2506억원과 비교하면 4.5배 가량 증가했고, 연평균 성장률은 27.4%로 국내 총생산(GDP) 5.9%, 제조업(GDP) 7.8% 보다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가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자기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건강기능식품 가운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홍삼제품으로 7190억원 어치를 생산해 전체 시장에서 52.6%를 차지했다.
그 뒤를 이어 △비타민 및 무기질 제품(11%, 1561억원) △개별인정형 제품(10%, 1434억원) △알로에 제품(5%, 691억원) △오메가-3 지방산 함유 제품(4%, 508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전년대비 가장 많이 증가한 품목은 △감마리놀렌산 139.8% (93억→223억) △비타민 및 무기질 57.5%(991억→1561억) △오메가-3 지방산 함유유지 46.2%(348억→509억) 순이다.
이는 육류 및 고지방식 섭취 증가와 바쁜 일상 속에서 식이보충용 비타민과 무기질 제품에 대한 소비가 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소비자 요구에 따른 새로운 기능성 원료를 사용한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은 고시된 품목 이외에 안전성과 기능성을 개별로 인정받은 기능성 원료로 제조한 건강기능식품을 뜻한다.
지난해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중 간 건강 제품이 531억원 생산액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 △면역기능에 도움을 주는 제품(178억원) △관절·뼈건강 제품(153억원) △피부건강제품(100억원) △체지방감소 관련 제품(78억원) 순이었다.
우리 사회의 음주문화 등으로 간 건강 제품에 대한 소비 수요 증대, 일본 방사능 유출·환경오염·자외선 등으로 인한 면역기능이나 피부건강에 대한 소비자 관심 증가 등이 이유인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업체별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을 분석한 결과 (주)한국인삼공사가 지난해에도 생산액 5331억원원을 달성하며 2004년부터 계속 1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주)마임(549억원) △(주)서흥캅셀(468억원) △일진 제약주식회사(403억원) △(주)태평양제약(378억원)순으로 분석됐으며, 상위 10개 업체의 매출액이 전체 시장의 62.5%를 차지하는 편중된 양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