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해양플랜트산업을 제2의 조선산업으로 육성한다. 이에 역량을 끌어올려 2020년 수주액을 800억달러로 잡았다.
지식경제부는 9일 부산 한국해양대학교에서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121차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해양플랜트산업 발전방안'을 보고했다.
지경부는 지난해 257억달러를 기록했던 해양플랜트 수주액을 2020년 800억달러로 3배 가까이 늘리고 엔지니어링과 기자재 등의 국산 수행비율도 지난해 40%에서 2020년 60%로 높일 계획이다.
지경부에 따르면 해양에너지를 발굴·시추·생산하는 해양플랜트 시장은 지난해 1400억달러에서 2020년 3200억달러로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시장 환경에 국내 기업의 해양플랜트시장 매출은 지난해 257억달러로 249억달러를 기록한 선박의 매출을 뛰어 넘었고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대형조선사들 역시 앞으로 선박보다 해양플랜트 수주에 더 집중할 계획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기본설계에 활용할 광구가 없고 기자재의 국산화율도 20% 수준에 머물러 있는 상황일 뿐 아니라 해양플랜트 시장에서 규모가 더 큰 심해저 시장에는 아직 진출하지 못하고 있다.
지경부는 우선 국산기자재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100대 전략품목을 선정할 방침이다. 조선분야의 설계인력을 해양플랜트로의 전환을 지원해 전문 엔지니어링 역량을 확보한다.
또 올해 7월부터 시작되는 해양플랜트 관련 기술개발과제를 통해 해저-해상 통합 시스템을 구축, 해양플랜트 전반의 역량을 강화키로 했다.
이 밖에 울산, 부산, 경남, 전남 등 지역별로 특화된 클러스터를 지정해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다.
홍석우 지경부 장관은 "해양플랜트 산업규모의 성장으로 약 10만명의 신규 일자리 창출이 기대된다"면서 "불황을 겪고 있는 조선업의 다변화 측면에서 해양플랜트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