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상장기업들은 상장유지와 관련, 공시의무를 가장 부담스러워하고 있고 상장에 따른 만족도도 크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287개 상장사를 대상으로 '우리기업의 상장 관련 부담현황과 개선과제'를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의 67.7%가 공시의무를 가장 큰 부담으로 꼽았다고 13일 밝혔다.
이어 '증권집단소송과 주주간섭(13.2%)', '사외이사·감사위원회 등 내부통제장치 구축(8.0%)' 등으로 나타났다.
상장기업들은 재무적 부담보다는 비재무적 부담을 더 크게 느끼고 있다.
상장유지 수수료, 주주관리비용 등 재무적 부담에 대해선 37.7%의 기업이 부담스럽다고 답한 반면 공시의무, 내부통제 등 비재무적 부담에 대해 79.8%가 부담스럽다고 답했다.
응답기업들은 상장만족도에 대해 100점 만점에 72.7점이라고 답했다. 과거 3년전과 비교해 부담이 늘었다고 답한 기업은 46.2%, 비슷하다는 49.6% 완화됐다는 4.2%로 집계됐다.
상장기업들은 상장부담에 적절히 대응하기도 버거운 실정이었다. 상장과 관련한 별도의 전담조직 유뮤에 대해 20.6%의 기업만이 있다고 답했다. 나머지 79.4%는 없었다고 밝혔다.
상장을 통해 이익을 누리고 있다는 기업은 75.6%를 기록했다. 그 이익으로는 원활한 자금조달(40.4%), 기업이미지 향상(35.9%), 기업투명성 향상(11.5%) 등의 순이다.
상장제도와 관련해 가장 시급히 개선돼야 할 과제는 공시부담 완화가 52.5%로 가장 높았고 상장회사에 대한 특례 확대(23.4%), 지배구조 등 내부통제제도 완화(14.3%) 등이 뒤를 이었다.
전수봉 대한상의 조사1본부장은 "기업이 주식시장을 활용하기 위해 시장의 룰로 정해진 어느 정도 의무를 부담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우리 경제수준과 주식시장 성숙도에 비해 부담이 과하다면 문제가 있다"면서 "특히 기업이 부담을 많이 느끼는 공시제도 등을 완화해 우리 증시가 기업에게 더욱 매력적인 자금조달 수단으로 변화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1